Page 135 고 체육탐구
P. 135
⑵ 높이뛰기에 적용된 역학적 원리
❶ 충격량의 원리
발구르기 직전에 무게 중심을 낮추고 신체를 뒤로 기울이는 동작은 구르는 다리가 충격량
충격량=충격력×충격 작용 시간
지면에 가하는 힘의 작용 시간을 늘려 충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양팔을 위쪽으로
스윙하는 동작은 다리가 지면을 차는 힘에 더해져서 도약하는 충격량을 증가시킨다.
가로대를 넘는 순간 다리를
가로대 3~4보 전에서 곡선 앞으로 차올린다.
방향으로 탄력을 높이며 빠르
게 달린다.
발구르기 구간(충격량의 원리 적용) 공중 동작과 착지 구간(무게 중심의 원리 적용)
❷ 무게 중심의 원리
높이뛰기에서 인체의 무게 중심은 중요한 역학적 요인으로 공중 동작 기술의 발전
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다. 몸을 뒤로 젖혀 몸 전체를 활처럼 휘게 하는 공중 동작은
무게 중심의 위치를 최대한 낮출 수 있다. 즉, 가장 적은 힘으로 무게 중심을 가로대
의 높이만큼만 높이면 되므로 가장 효율적인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도약 높이 향상을 위한 공중 동작 방법 탐구하기, 비교하기
높이뛰기의 공중 동작인 가위뛰기, 엎드려 뛰기, 배면 뛰기 기술의 무게 중심을 그림에 표시해 보자.
가위뛰기: 다리를 차올려 가로대를 걸 엎드려 뛰기: 엎드려 가로대를 감싸듯이 배면 뛰기: 기로대를 등지고 뛰어넘어 등
터타듯이 뛰어넘어 발부터 착지한다. 뛰어넘고 옆으로 누우며 착지한다. 으로 착지한다.
새로운 높이뛰기 공중 동작 자세를 창안한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
132 Ⅱ. 체육과 과학 04. 체육의 역학적 원리와 적용 13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33 2018-07-19 오후 3: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