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고 체육탐구
P. 138
5. 스케이팅
스케이팅의 종류 중 스피드 스케이팅은 얼음판 위를 빠른 속도로 달려 승부를 겨
루는 경기로, 동계 스포츠의 가장 대표적인 빙상 종목이다. 빙판 위의 마찰력을 최대
한 활용하여 빠른 시간에 최고 속도에 도달하고 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⑴ 스케이팅의 이해
곡선을 돌 때는 몸을 안쪽으로 기
울이고, 오른발을 왼발 앞쪽으로
내디디면서 안쪽 팔을 작게, 바깥
쪽 팔을 크게 흔든다.
출발 신호에 반사적으로 반응하여 출발하며, 출발 직후부터는 가속을 위해 보폭을
스케이트 중 뒷굽이 분리되는 클랩 스 짧게 하고 얼음판을 달리듯 강하게 차면서 나아간다.
케이트는 어떤 장점이 있나요?
직선 지치기에서는 상체를 굽혀 공기 저항력을 줄이고, 얼음을 지칠 때는 보폭을
길게 하면서 한쪽 발에 체중을 싣고 반대 발은 무릎을 펴면서 강하게 얼음을 민다.
팔은 크게 번갈아 교차시켜 스윙하여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균형을 유지한다.
곡선 지치기에서는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 트랙 안쪽으로 몸을 기울여 균형을 잡
스케이트는 얼음을 지칠 때 날과 빙판 사
이에 생긴 열로 녹은 물이 윤활유 역할을 고,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양발을 교차하면서 몸의 중심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하여 미끄러지듯 나아간다. 뒤꿈치를 들
어도 스케이트 날이 빙판에 붙어 있는 클
랩 스케이트는 얼음과의 마찰력을 늘려 ⑵ 스케이팅에 적용된 역학적 원리
효율적인 스케이팅을 돕는다.
❶ 관성의 원리
보폭과 보빈도 출발 초기에는 보폭을 짧게 하고 보빈도를 증가시켜 큰 힘을 빠르게 반복적으로
질주 속도(m/s)=보폭(m/stride)× 사용하여 정지 관성을 효율적으로 극복한다. 중반 이후부터는 보폭을 길게 하고 보
보빈도(stride/s)
빈도를 감소시켜 운동 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❷ 원심력의 원리
곡선 구간에서 순간 구심 가속도의 크기가 빙면 마찰 계수와 중력 가속도의 곱보
다 크면 바깥쪽으로 미끄러진다. 즉, 빠른 속도로 인해 원심력이 빙면의 최대 마찰력
보다 크면 미끄러지게 되므로 곡선 주로에서 이탈하지 않기 위해서는 몸을 안쪽으
로 기울여 구심력을 증가시키고 원심력의 영향을 줄여 속도와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136 Ⅱ. 체육과 과학 04. 체육의 역학적 원리와 적용 137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36 2018-07-19 오후 3: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