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고 체육탐구
P. 134









2. 높이뛰기

높이뛰기는 수직으로 높이 뛰는 도약 경기로, 수평 운동을 수직 운동으로 전환시
켜 가로대를 뛰어넘는다. 도움닫기-발구르기-공중 동작- 착지의 4단계 동작이 조화

롭게 연결되어야 하며, 강한 도약력과 유연한 공중 동작이 기록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⑴ 높이뛰기의 이해

직선 방향으로 점차 속도를
높이며 8~9보를 달린다.


















도움닫기 구간

❶ 도움닫기 구간
도움닫기의 빠른 수평 속도를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강한 발구르기를 할 수 있
도록 처음에는 직선으로 달리다가 마지막 3~4보 전부터 곡선으로 달린다.
에너지 소모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중 동작 기술은 무엇일까?
❷ 발구르기 구간
동일한 가로대의 높이를 넘을 때 배면 뛰
기는 가위뛰기나 엎드려 뛰기보다 무게 발구르기 직전에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상체를 뒤로 기울인다. 발 구르는 순간
중심이 아래쪽에 있어 에너지 소모가 가
장 적다. 에는 뒤쪽에 위치한 양팔과 구르지 않는 다리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면서 가로대를
향해 상체를 회전시킨다.


❸ 공중 동작 구간
상체를 뒤로 젖혀 공중에 떠 있는 다리가 가로대 아래로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그
반작용으로 엉덩이가 가로대의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가로대를 넘을 수 있다. 엉덩

이가 가로대를 넘어가는 순간에는 머리와 어깨를 들어 올림과 동시에 다리도 위쪽
으로 차올려 다리가 가로대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착지 매트의 중요성 ❹ 착지 구간
매트의 스폰지는 착지 면적을 넓게 하 시선을 가로대에 고정시키고 턱을 가슴으로 끌어당겨 어깨와 등 윗부분이 매트에
고, 착지 시간을 연장시켜 충격력을 줄
여줌으로써 부상을 예방한다. 먼저 닿도록 한다. 등의 넓은 면적이 매트에 먼저 착지되어야 머리와 목을 보호할 수
있다.



132 Ⅱ. 체육과 과학 04. 체육의 역학적 원리와 적용 13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32 2018-07-19 오후 3:17:14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