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고 체육탐구
P. 91
1
스포츠 활동의 생리학적 이해
1. 스포츠 생리학의 개념
⑴ ‘스포츠 생리학’이란
생리학은 생명 현상이 나타나는 과정이나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신체 활동
골격근의 수축으로 기초 대사량(절대
생물학 분야이다. 스포츠 생리학은 이러한 생리학 분야 중 운동 중에 나타나는 신체
적 휴식) 이상의 에너지 소비를 하는
반응 과정이나 원인을 생물학적으로 분석하여 운동 효과를 설명하거나 운동 방법을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말한다. 최근에
는 운동보다 큰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
효율적으로 개선하려는 체육의 한 분야이다. 으며, 국내외 보건 당국 및 세계보건기
구(WHO)에서도 건강한 삶을 위한 최
소 수준의 신체 활동 지침을 개발 및 배
⑵ 생리학과 스포츠 포하고 있다.
스포츠 활동이나 육체적으로 힘든 신체 활동을 하면 우리 몸 대부분의 생리학적
시스템은 일련의 통합된 변화로 반응한다. 신체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근골격계를
활성화시키고 제어하며, 순환계 및 호흡계는 움직임을 지속할 수 있도록 에너지원을
공급한다.
↑/↔/↓혈류량
↑↑↑환기 및 호흡 교환
↑↑↑혈류량
↑/↔ 혈류량 ↑혈류 재분배
↑↑기계적 긴장
↑↑줄기세포의 방출
↑↑↑심박출량
↑↑↑관상동맥 혈류량
↑↑↑산소 소비량
↑혈류 재분배
↑↑↑대사 및 혈류량
↑↑↑산소 추출과 소비
↑기계적 긴장
↑혈액 농축
↑혈중 산소 함량
↔/↑에너지 기질 수준
↑↑↑동맥 확장
↑↑↑ 모세 혈관압과 에너지
기질의 변화
↑↑↑혈류 재분배 ※ 화살표는 활성화 정도를 나타냄.
↑↑↑정맥 수축 ↑낮음, ↑↑보통, ↑↑↑높음, ↔ 변화 없음
▲ 스포츠 활동을 할 때의 신체 반응
88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8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89 2018-07-19 오후 3: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