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고 체육탐구
P. 96









⑵ 호흡계

폐포 호흡계는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가스 교환 기능을 하며, 코, 인
폐포는 허파 꽈리라고도 하며, 폐 속 기
관지 맨 끝에 포도송이처럼 붙어 있는 후두, 기관, 기관지, 폐 등으로 구성된다.
공기주머니이다. 3~5억 개 정도가 있
으며, 이것을 모두 펴면 면적이 70~ ❶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
2
100m 에 이른다. 이는 몸 표면적의
50배에 이르는 넓이이다. 인후두에 연결된 기관 아래쪽 끝이 좌우로 나누어져 폐 기관을 형성한다. 폐는 세
기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기관지는 수많은 폐포에 연결되어 있다. 폐포는 내부
표면적을 넓혀 공기와의 접촉을 크게 하며, 둘레를 모세 혈관이 치밀하게 둘러싸고
있어서 가스 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폐포
비강 모세 혈관
구강 탈산소화된 혈액 산소화된 혈액
인두
기관지
후두 폐동맥



기관지
늑골
폐정맥 세기관지 폐포막
폐포
횡격막 세기관지 모세 혈관

▲ 폐(호흡 기관) ▲ 세기관지 ▲ 폐포


❷ 일회성 운동 시의 변화
낮은 운동 강도와 폐환기량 • 폐환기의 증가 호흡 작용으로 폐에 공기가 드나드는 것을 폐환기라고 한다. 스
낮은 운동 강도에서 폐환기량이 증가
하는 것은 대부분 1회 호흡량이 증가 포츠 활동을 하면 뇌의 호흡 중추에서 호흡 기관을 자극하고, 활동하는 골격근
하기 때문이다. 운동 강도가 높아지면 의 근육과 관절의 고유 수용체가 반응하면서 즉각적으로 폐환기가 증가한다.
분당 호흡수 또한 증가한다.
또한, 장시간 운동을 하거나 고강도 활동을 하면 체내의 이산화 탄소, 수소 이
온, 혈액 온도가 증가하여 폐환기를 증가시킨다.

• 호흡량 및 환기량의 증가 성인 남자의 경우, 안정 시 1회 호흡기량은 평균
400~550 mL 정도이고, 환기량은 호흡수를 20으로 가정했을 때 8~11L/분이다.

일반적인 성인의 환기량은 휴식 시 약 10L/분이며, 최대로 운동할 때는 10배 이
상 증가하기도 한다.

❸ 장기간 트레이닝 시의 변화
트레이닝을 오래하면 폐에서는 환기량이 | 트레이닝에 따른 호흡계의 변화 |

증가하게 된다. 이는 폐의 용적 증대 또는
•폐 용적(크기) 증가
생리적 적응을 통한 폐의 재구성이나 폐를 • 혈액 순환 및 가스 교환 능
력 증가
둘러싼 혈관 기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 • 폐를 둘러싼 모세 혈관의
한다. 밀도 증가



94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95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94 2018-07-19 오후 3:16: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