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고 체육탐구
P. 100
❷ 일회성 운동 시의 변화
• 근육 팽창(펌핑) 흔히 ‘알 배겼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는 운동 후에 나타나
는 근육의 팽창감과 통증은 운동 중에 근육에 혈액이 몰리면서 근육 조직과 주
변 혈관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근육 팽창은 약 30분 정도 지
속되다가 시간이 지나면 예전으로 돌아오며, 장기간의 반복적인 스포츠 활동으
로만 실질적인 근육의 크기나 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운동 전 운동 후
가슴둘레 78 cm 가슴둘레 86 cm
팔 둘레 26.5 cm 팔 둘레 28.5 cm
▲ 운동 후 근육의 팽창감 및 통증 ▲ 단기간 운동의 근육 팽창
❸ 장기간 트레이닝 시의 변화
미토콘드리아 • 골격근의 산소 이용 능력 향상 걷기와 같은 지구성 트레이닝을 꾸준히 하면 골격
여러 유기 물질에 저장된 에너지를 산 근의 산소 이용 능력이 향상된다. 이것은 주로 미토콘드리아의 질량이 증가하고
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아데노신삼인산(ATP) 형태로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지구성 트레이닝은 새로운 혈관 형성을 자극하여 근
변환하기 때문에 세포의 발전소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육 모세 혈관의 밀도를 높이므로 근육으로의 산소 전달이 증가한다. 따라서 오
거의 변화 없이 모계를 통해 후대에 전 랜 시간 동안 근수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지구성 트레이닝의 효과
해지기 때문에 유전학이나 진화 생물
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유용한 는 지근 섬유에서 주로 나타난다.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인류 최초의 여
성 조상(흑인)인 이브를 추적할 때 이 • 근육량 및 근력의 증가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은 저항성 트레이닝을 지속적으로
용되었다.
하면 근육량의 증가와 근력 및 근지구력이 향상된다. 또한, 골격근의 운동 신경
을 자극하여 근수축의 속도나 효율성이 증가된다.
비활동 시 활동 시
• 근육량 증가 및 근력, 지구력 향상
• 안정 시 혈액량이 감소하지만 최대 능력은 증가
• 산소 추출 능력 증가
• 마이오글로빈 증가
• 미토콘드리아의 질량 및 활동성 증가
98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9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98 2018-07-19 오후 3: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