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고 체육탐구
P. 98









• 근수축의 종류 근수축 시 근육의 길이와 근력 발휘 형태에 따라서 등장성 수축,
등척성 수축, 등속성 수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근육 길이가 짧아지거나 늘어나면서 근력을
발휘하는 형태로, 바벨이나 덤벨을 들고 팔
등장성 수축
을 굽히거나 펴는 대부분의 웨이트 트레이
닝 동작이 이에 해당된다.










플랭크(Plank)
근육의 길이가 변하지 않은 채로 근력을 발휘하는
플랭크는 프론트 홀드, 호버, 복부 브
형태로, 주로 정적인 상태에서 최대의 근수축을 유
릿지라고도 하며, 가능한 최대 시간 동
등척성 수축 도한다.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는 복부나 코어 근력
안 푸시업과 비슷한 자세를 유지하는
향상을 위한 플랭크가 대표적인
등척성 수축 운동을 말한다. 윗몸 일으
등척성 수축 운동이다.
키기에 비해 다양한 근육군을 자극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육의 힘이 전체 운동 과정에 걸쳐
최대가 되고, 운동 속도가 일정하게
등속성 수축 나타나는 형태이다. 보통의 운동에서
는 존재하지 않으며, 특별히 고안된
운동 기구에서 이루어진다.






근수축의 종류와 트레이닝 방법 비교하기, 적용하기

근수축은 종류별로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 부합하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 등장성 수축: 근육 비대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힘을 발휘하는 원심성 수축에서 근성장을 위한 운동 자극이 크게 작
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등척성 수축: 관절의 움직임 없이 특정 근육군을 수축할 수 있으며, 수축 정도에 따른 통증을 부상의 악화 없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 재활의 초기
단계나 관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등속성 수축: 관절이 움직이는 범위 내에서 최대의 근력을 발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장비가 비싸고 단조로운 동작만 가능하여 트레이닝으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 다만, 근력의 검사 측면에서는 가장 정확하고 의미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근수축의 종류 중 나에게 맞는 트레이닝 방법은 무엇일까?



96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97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96 2018-07-19 오후 3:16:06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