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고 체육탐구
P. 93
• 심박출량의 증가 심박출량은 1분 동안 심장의 좌심실이 분출하는 총 혈액량 심박출량의 계산
휴식 상태에서 체중이 70 kg인 일반 성
(mL/min)을 말한다. 심박수의 증가는 심박출량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 인의 심박수를 분당 70회, 1회 박출량
한, 한 번 심장이 수축하여 좌심실 밖으로 분출되는 1회 박출량의 증가에 의해 을 70 ml로 가정하면, 이때의 심박출량
은 4.9 L/min으로 계산할 수 있다.
서도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안정 시와 비교하면 운동 시에는 1회 박출량이 약 2 심박출량 = 심박수×1회 박출량
배 정도 증가한다.
❸ 장기간 트레이닝 시의 변화
• 최대 산소 섭취량의 증가 오래달리기나 수 최대 산소 섭취량
영과 같은 지구성 트레이닝을 오랫동안 •심장의 크기 증가 심폐 지구력을 평가하는 준거 검사로,
최대 강도의 운동을 수행할 때 섭취하
•심실벽의 두께 증가
수행하면 최대 산소 섭취량이 증가한다. 는 산소량을 말한다. 최대 운동 부하 검
•안정 시 심박수의 감소
사로 측정하며, 다양한 생리학적 정보
• 심장의 구조적 변화 심장의 크기 증가와 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완기 기능의 향상으로 운동성 서맥이
나타나고 최대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 트레이닝에 따른 심장의 변화
혈관
운동성 서맥
❶ 혈관의 구조와 기능
규칙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여
혈관은 혈액이 이동하는 통로로, 동맥과 정맥, 모세 혈관으로 구분된다. 혈액은 심 심장의 예비력이 증가한 상태를 말한
다. 안정 시 맥박이 분당 60회 이하이
장에서 동맥을 지나 조직의 모세 혈관으로 이동하고 다시 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돌 며, 스포츠 심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온다.
• 동맥과 정맥 혈관은 역할에 따라 구조적인 차이를 보인다. 동맥은 좌심실이 수
축하여 혈액을 보낼 때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견디기 위해 혈관이 두껍고 탄성
이 높은 반면, 정맥은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판막이 있다. 또한, 모세 혈
관은 조직을 감싸고 있는 그물 형태로 가늘고 탄성이 없다.
혈액이 흐르는 방향
모세 혈관
내막
중막
외막
판막
동맥 정맥
90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91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91 2018-07-19 오후 3: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