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고 체육탐구
P. 92
2. 스포츠 생리학의 이해
⑴ 순환계
스포츠 활동을 하면 근육의 움직임이 많아지며 이때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
해 순환계는 더 많은 일을 한다. 즉, 움직임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혈액을 통해 근육으로 보내기 위해 심장이 더 빨리 수축한다. 이러한 순환계는 심장
과 혈관으로 구성된다.
대동맥
심장 상대정맥
반월판 폐동맥
좌심방
❶ 심장의 구조와 기능 폐정맥 폐정맥
산소 포화도 심장은 좌, 우로 구분되며 각각 2개의 우심방 반월판
이첨판
혈액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량을 최대 심방과 심실로 나누어져 있고, 심방과 심 삼첨판
량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로, 체온
상승이나 수소 이온 농도(ph) 저하에 실 사이에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 우심실 좌심실
따라 감소한다.
한 판막이 있다. 심장의 수축을 통하여 하대정맥
추진력을 얻은 혈액은 혈관을 통하여 몸
: 산소 포화도가 높은 혈액
전체에 도달한다. : 산소 포화도가 낮은 혈액
▲ 심장의 구조
최대 심박수
❷ 일회성 운동 시의 변화
• 심박수의 증가 심장이 1분간 수축한 횟수를 심박수라고 한다. 일반적인 성인의
심박수 심박수 상승 여유 경우 안정 시 심박수는 분당 60~80회 정도이다. 운동을 할 때는 활동 강도의
변형 지점
심박수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서서히 증가하지만 무한정 증가하지는 않는다. 수행할
안정 시 심박수
수 있는 최대 운동 강도에서의 심박수를 최대 심박수라고 하며, 간단하게 ‘220-
운동 강도
자신의 나이’로 계산할 수 있다.
▲ 운동 강도에 따른 심박수의 변화(선형)
심박수 측정하기 비교하기, 분석하기
심박수는 스포츠 활동을 할 때 빠르게 증가한다. 심박수는 동맥이 있는 어느 부위에서나 측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엄지손가락 아래 손목 부위인 노
동맥과 목 부위의 경동맥을 통해 측정한다. 심박수는 분당으로 측정해야 하지만 10~15초를 측정하여 6이나 4를 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또는 운동 중에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해 보자.
| 심박수 측정 방법 | | 안정 시 18~25세 기준 심박수(회) |
성별 뛰어남 좋음 평균 이상 평균 평균 이하 나쁨
여자 61~65 66~69 70~73 74~78 79~84 85+
남자 56~61 62~65 66~69 70~73 74~81 82+
심박수를 측정할 때 검지와 중지만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90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91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90 2018-07-19 오후 3: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