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고 체육탐구
P. 101









⑷ 에너지 생산 체계

인체는 세 가지 핵심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부터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를 흡수하고, 근육을 움직이기 위해 신체의 에너지원인 아데노신삼인산
(ATP)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아데노신삼인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에너지 생산 체계

라고 한다. 에너지 생산은 산소의 유무에 따라 무산소성 생산 체계와 유산소성 생산
체계로 나뉜다.

무산소성 생산 체계

무산소성 생산 체계는 산소를 이용하지 않고 아데노신삼인산을 합성하며 세포질 아데노신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
내에서 이루어진다. 아데노신에 인산기가 3개 달린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아데노신삼인산은 모
❶ 인원질 과정(ATP- PC 시스템) 든 생물의 세포에 존재하며, 아데노신
삼인산 한 분자가 가수 분해를 하여 다
아데노신삼인산은 분해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데 이는 근육 세포 내에 약 량의 에너지를 방출하므로 에너지 대
사에 매우 중요하다.
3초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적은 양이다. 따라서 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아데노신
삼인산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공급 과정에서 근육 세포 내의 크레아틴
인산이라는 화합물이 분해되면서 아데노신삼인산을 재합성하는데 이를 인원질 과
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인원질 과정은 40~200m 단거리 달리기와 같이 짧고 강도 높은 운동
을 위한 1차 에너지 생산 체계로, 빠른 속도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지만 생산 능력

은 10~20초 안에 소진된다.


크레아틴 ADP
키나아제 크레아틴
PCr 에너지 ATP
젖산
젖산(Lactic acid)은 체내에서 포도당이 분해되면서 생성
Pi Pi
되는 물질이다. 과거에는 젖산을 강도가 높은 운동 후에 발
▲ ATP-PCr 시스템 생하는 근피로의 원인으로만 생각했지만, 요즘에는 지근 섬
유에서 다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매우 효과적인 에너지
원으로 보고 있다.

❷ 무산소성 해당 과정
높은 강도로 운동을 지속하면 활동하는 근육 세포의 산소 요구

량이 공급량을 초과하게 된다.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아데노신삼
인산을 생산할 수 있는 2차 에너지 생산 체계가 무산소성 해당 과
정이다.

무산소성 해당 과정은 탄수화물을 분해시켜 젖산 또는 피루부
산을 형성하며, 800m 달리기와 같이 30초에서 2분까지 지속되는
스포츠 활동을 위한 생산 체계이다.



98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9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99 2018-07-19 오후 3:16:07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