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고 체육탐구
P. 103









에너지 생산의 연속성

무산소성 생산 체계와 유산소성 생산 체계는 각각 다른 과정으로 에너지를 생산 축구 경기에서의 에너지 생산
하지만 단거리 달리기와 같이 10초 내외에 경기가 종료되는 종목을 제외한 대부분
의 스포츠 종목에서는 운동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에너지 생산 체계가 순차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에너지 생산의 연속성은 신체의 움직임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과적
으로 제공한다.

에너지 생산의 상대적인 기여도는 운동 시작 시점의 운동 강도와 근육의 산소 가
용성, 운동 지속 시간 등의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아래의 그래프는 운동 시간에 따 축구 경기에서 수비수는 자기 팀 공격
수가 공을 잡고 상대 진영으로 공격할
른 에너지 생산 체계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보여 준다.
때는 여유가 있으므로 주로 유산소성
시스템으로 아데노신삼인산을 공급받
아 움직인다. 그러나 상대방 공격수가
공을 잡아 자기 진영으로 들어올 때는
운동 강도
전력을 다해 마크를 해야 하므로 주로
100% 무산소성 시스템으로 아데노신삼인산
을 공급받아 움직이게 된다.
무산소성 해당 과정
(단시간)



50%
유산소성 생산 체계
(장시간)

인원질 과정
(초단시간)

0%
10초 30초 2분 5분 운동 시간


▲ 운동 시간 및 강도에 따른 에너지 생산 체계의 사용




스포츠 종목에 따른 에너지 시스템 비교하기, 분석하기

스포츠는 종목의 특성이나 경기 상황에 따라 순간적인 에너지를 필요로 할 때도 있고, 장시간 일정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할 때도 있다. 종목에 따라 활용
되는 주요 에너지 시스템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단거리 달리기 창던지기 농구 축구 크로스컨트리 스키 마라톤
위에 제시된 스포츠 종목들은 각각 어떤 특성이 있고, 주로 어떤 에너지 시스템을 사용할까?




100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101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01 2018-07-19 오후 3:16:09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