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2 고 윤리와 사상
P. 192
현대 사회에서 개인선과 공동선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 개인은 자신의 삶의 방향을 설정하고 자아를 실현할 수
✽개인선
개인의 행복한 삶을 위해 요구 있지만, 자신이 속한 공동체가 중시하는 가치 규범과 갈등을 일으켜 정체성 혼란을
되는 자유, 권리, 이익 등을 말한
✽
✽
겪기도 한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
다.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05
✽공동선
공동체의 좋은 삶을 위해 요구 개인선을 우선시하는 자유주의 관점은 개인을 공동체로부터 분리시켜 공동선에
되는 공공의 이익이나 사회적 책
무관심한 개인을 만든다는 비판을 받지만,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대한 실현하기
무를 말한다.
위해 공동체가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공동선을 우선시하는 공화주의 관점은 공동
체의 가치 규범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지만, 공동체가
개인에게 정체성과 소속감을 갖게 하여 안정된 삶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10
볼 때, 두 관점은 모두 개인과 공동체, 개인선과 공동선을 상호 보완적 관계에서 이
*전체주의 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의 모든 활동은 민족이나
그렇다면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위해 기울여야 할 노력은 무엇일까? 먼저 개
국가의 존립과 발전을 위해 존
재한다는 이념 아래 개인의 자유 인선은 공동체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하며, 공동선은 개인들의 지지를 확보할
를 억압하는 사상 및 체제를 말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개인선은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책무를 외면하지 않아야 하 15
한다.
며, 공동선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이
와 같은 노력이 있을 때, 자유주의가 초래할 수 있는 이기주의와 공화주의가 초래할
✽
수 있는 전체주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비교하기, 성찰하기
쟁 개인선과 공공선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쟁점 토론점 토론
(가) 대지와 모든 피조물은 만인의 공유물이지만 모든 사람은 자신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그 사람 이외에 어느 누구도 그의 신체 노동과 손의 작업은 당연히 그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가 자연이 제
공하고 자연 안에 놓아 둔 것을 그 상태에서 꺼내어 거기에 자신의 노동을 섞고 무언가 그 자신의 것을 보태면
그것은 그의 소유가 된다. 적어도 그의 소유가 된 것 이외에도 공유물들이 충분히 남아 있는 한, 타인이 아닌 오
직 그만이 노동이 부가된 것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 로크, 『통치론』
(나) 우리를 사회 체제에 결합시키는 계약이 의무인 것은 오직 그것이 쌍무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약의 특성은
그 계약을 이행할 때 남을 위해 일하는 것이 곧 자신을 위해 일하는 것이 된다는 점이다. 일반 의지를 항상 옳다
고 보고, 사람들 모두가 각 개인의 행복을 끊임없이 원하는 것은 일반 의지를 자기 자신의 의사로 생각하기 때
문이다. 우리는 어떤 의사를 일반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은 다수결이 아니라 그들을 결합시키는 공동 이익, 즉
공동선이 있기 때문임을 알아야 한다. - 루소, 『사회 계약론』
(가), (나)의 관점에서 개인선과 공동선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 보고, 토론 결과를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190 Ⅳ. 사회사상
윤리와사상 서양윤리 4단원.indd 190 2018-08-07 오전 11:5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