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고등학교 운동과 건강 지도서
P. 5
단원 프로젝트 학습 안내 각론
단원 프로젝트 안내 이 단원의 프로젝트 학습 내용은 ‘건강 생활을 위한
대단원 열기 나는 얼마나 운동을 하고 있을까? 운동 습관 형성 프로젝트’이다.
국민 생활 체육 참여 실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10대 청소년은 평균 4명 중 1명 정도만 건강 생활을 위한 운동 습관 형성 프로젝트 단원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려면 우선 단원 전체의
규칙적으로 신체 활동(운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 3회 이상 운동을 하는 비율은
이 단원은 건강 관리의 개념을 바탕으로 자신의 신체를 이해하고, 운동으로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기르며, 건강을 관 구성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도록 한다.
약 25 %이며, 세계 보건 기구(WHO)의 권고에 맞추어 매일 1시간 이상 운동을 하는 비율은 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균 5%에도 미치지 못한다.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청소년도 절반 가까이나 된다. 다음은 이 단원의 프로젝트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소주제와 활동들이다. 프로젝트 학습 진행 시 필요한 소주제와 단원 프로젝트 학습의 진행과 관련된 상세한 안내,
운동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믿으면서도 운동을 잘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활동들을 선택해 활용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여기에 제시하지 않은 활동을 추가로 구성해 활용할 수 있다. 학습 샘플은 교과서 40~41쪽에 제시되어 있다.
상세한 단원 프로젝트 학습은 단원 말미(40~41쪽)에 제시되어 있다.
신체 활동과 운동에 대한 10대들의 생각
프로젝트 학습 진행 시 주의 사항
프로젝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소주제와 활동
너희들, 고등학생은 규칙적인 운동이 아니, 공부할 건강을 위해서는 1 소단원 관련 소주제 및 활동 쪽
일주일에 며칠이나 시간도 없는데 하루에 1시간씩 • 단원 프로젝트 학습 진행 시 단원의 전체 구성을 파
건강에 좋은 건 생활 습관과 ① 건강과 건강 관리 청소년기 건강 관리의 중요성 탐색하기 16, 17
운동을 해야 하는지 알겠는데……. 무슨 운동을 해! 꼭 운동을 하라던데…….
알고 있니? 건강 관리 ② 생활 습관과 건강 관리 건강 관리를 위한 나의 생활 습관 점검하기 19 악하고, 핵심 학습 내용과 평가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③ 건강 생활을 위한 운동 습관 기르기(활동)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만들기 20~23
빨리 와~. 정리한 후 학습을 진행해야 교수 학습이 방향을 잃지
2 소단원 관련 소주제 및 활동 쪽 않고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① 건강과 운동의 관계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 탐색하기 25
건강과 운동의
효과 ② 운동 유형별 특성과 효과 심폐 지구력 운동의 종류와 특성 조사하기 27 • 교과서 차례와 관련 소주제 및 활동 등(아래 체계표
심폐 지구력을 기르는 운동 해 보기,
③ 운동과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는 운동 체험하기(활동) 30~33 참조) 단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해 학습자가 학
근력 및 근지구력을 기르는 운동 해 보기 등
3 소단원 관련 소주제 및 활동 쪽 습 맥락을 파악하도록 한 후 수업을 진행한다.
운동과
① 자기 관리를 위한 운동 습관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습관 기르기 35 • 필요 시 주요 개념에 대한 학습을 별도로 진행할 수
자기 관리
이게 우리나라 주 6회 3.2 매일 3 주 6회 1.3 ②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해 보기(활동) 자기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체험하기 38, 39
청소년들이 운동을 하고 주 4회 5.7 주 4회 2.7 주 5회 3.5 있으며, 이때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소를 보충 설명
있는 비율이야~.
주 5회 한다.
8.6 30.7 주 3회 8.6 프로젝트 학습
매일 전혀 하지
5.8 59.2 소단원 관련 소주제와 활동 쪽
남자 않는다 주 2회 8.1 여자 • 프로젝트 학습의 평가 요소 및 방법들을 학습 초기에
(단위: %) 전혀 하지
12.3 (단위: %) 않는다 건강 생활을 위한 운동 실천 프로젝트(활동) 심폐 지구력 운동을 체험하며 운동 습관 기르기 40~41
주 3회 7.9 개략적으로 설명하여 학습자가 향후 어떤 평가가 진
7.6 주 1회
8.9 월 2~3회 5.6
주 2회 17.3 월 2~3회 행되는지 알게 한다.
주 1회 프로젝트 활동으로 기를 수 있는 역량
(출처: 문화 체육 관광부, 2015 국민 생활 체육 참여 실태 조사)
체육 교과 역량 • 프로젝트 학습의 개략적 일정을 제시하고, 세부 일정은
상 중 하 건강 관리 능력 상 중 하 신체 수련 능력 상 중 하 경기 수행 능력 상 중 하 신체 표현 능력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지만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학습자들이 정해서 진행하도록 한다.
범교과 역량
상 중 하 자기 관리 역량 상 중 하 공동체 역량 상 중 하 의사소통 역량
건강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을 실천할 때 자기 관리가 필요한 이유를 말해 보자.
상 중 하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상 중 하 창의 융합 사고 역량 상 중 하 심미적 감성 역량
12 Ⅰ . 운동과 건강의 관계 . 13
프로젝트 학습 체계표
교과서 차례 관련 소주제 및 활동 핵심 내용 활동ㆍ평가지
•건강 삼각형 완성하기(활동지)
•청소년기 건강 관리의 중요성 •건강의 개념 이해
1. 생활 습관과 건강 관리 탐색하기 •청소년기 건강 관리의 중요성 •나에게 운동이 필요한 이유 서술
① 건강과 건강 관리 •건강 관리를 위한 나의 생활 인식하기 하기
② 생활 습관과 건강 관리 습관 점검하기 •건강을 해치는 생활 습관 알기 •청소년에게 필요한 운동량 알기
③ 건강 생활을 위한 운동 습관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바람직한 건강 관리 방법 알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나의 생활
기르기 및 운동 습관 점검하기, 개선 방
만들기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 수립하기
안 세우기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 탐색하기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 및 체력의
•심폐 지구력 운동의 종류와 특성 관계
2. 건강과 운동의 효과 조사하기 •심폐 지구력 운동의 종류와 특성 •자신에게 필요한 운동과 기대하
① 건강과 운동의 관계 •심폐 지구력 운동 해 보기 이해 는 효과 쓰기(활동지)
② 운동 유형별 특성과 효과 •심폐 지구력 운동의 종류와 특성 •근력 및 근지구력 운동의 종류와 •자신에게 필요한 운동 해 보기
③ 운동과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 조사하기 특성 이해 (체험 기록 작성)
는 운동 체험하기 •근력 및 근지구력 운동 해 보기 •유연성 운동의 종류와 특성 이해
•유연성 운동의 종류와 특성 조사 •건강 증진에 유용한 다양한 운동
하기 등 의 체험
3. 운동과 자기 관리 •자기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자기 관리와 올바른 운동 습관
① 자기 관리를 위한 운동 습관 체험하기 •청소년의 바람직한 운동 습관 •자신의 운동 계획표 작성하고
②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실천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습관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운동 실천하기
하기 기르기 체험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