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P. 108









ࣁࠗ ૑بউ 도입


1-1 문제 파악 질문 제시

1. 자아 이해와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
بੑ ૕ޙ ࣗױਗݺ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일까? 적성은 어떤 일을 다른 일보다 상대적으로 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어떤
03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일까?
بੑ ૕ޙ ੄ب 앞에서 학생들의 직업 흥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이 적성에 맞는다는 것은 그 일을 다른 일보다 잘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직업 분야의 적성을 직업 적성이라고 한다. 자신의 직업 적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면
학습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활동 • 나의 적성 알아보기
면, 이번에는 직업 적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다. 학생들 각 목표 과제 직업 선택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의
직업 적성을 고려한다면 직업에 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자가 잘하는 활동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질문을 통해 생각할 직업 적성을 탐색하는 데는 스스로 관찰하여 알아보는 방법, 부모님·선생님·친구
열려라!
생각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은 다르다 등 주변 사람의 의견을 들어 보는 방법이 있다. 또 표준화된 진로 심리 검사 중에서
수 있도록 유도한다. 직업 적성 검사를 활용하여 알아볼 수도 있다. 직업 적성 검사
토요일, 은수는 오늘도 어김없이 오빠의 노랫소리에 잠을 깼다. 아무리 들어도 평범한 목소 적성은 타고나기도 하지만, 주변 환경의 영향이나 경험을 통해 발견하거나 자신의 노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가
리인데, 오빠는 가수가 되겠다며 주말마다 집에서 노래 연습을 한다. 그러다 오늘, 점심 식사 지 방법 중의 하나일 뿐이므로
Үࢎ ഝز 도입 질문을 제시하면서 이 단원을 학습하는 까닭을 자리에서도 계속 노래를 흥얼거리는 오빠에게 부모님께서 말씀하셨다. 력으로 계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직업 적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소 자신이 좋아하 직업 적성 검사 점수만으로 진
는 활동, 잘하는 과목 등을 꾸준히 살피면서 스스로 자신의 적성을 찾아야 한다. 로를 결정하지 않도록 한다.
학생들이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직업 적성의 유형
↟૑ب࢚ ਬ੄੼↟ 아빠는 네가
좋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하는 것도 한번 생각해 우리 아들은 신체·운동 능력 언어 능력
답이 나오지 않을 경우 구체적으로 그동안 칭찬받았던 경험을 떠올려 보 보면 좋겠어. 글을 잘 쓰니까, 그 재능을
살릴 수 있는 직업도 좋을 거야.
기존 체력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말과 글로써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며, 다른
도록 한다. 노래는 취미로 하고 작가가 동작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 사람의 말과 글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되는 건 어 떨까?
손 재능 수리·논리력
손으로 정교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능력 논리적으로 사고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1-2 문제 파악 학습 동기 유발 공간·시각 능력 자기 성찰 능력
머릿속으로 그림을 그리며 생각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알며, 자신을 돌아보고 감정
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Үࢎ ഝز
음악 능력 대인 관계 능력
•<열려라! 생각>을 학생들과 함께 읽는다. 노래를 부르고, 악기를 연주하며 감상할 수 있는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능력
•도입 질문
창의력 자연 친화력
보고 내가 잘하는 것을 직업으로 선택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 최근 1년 동안 나의 말과 행동으로 인해 칭찬받았던 경험이 묻기 새롭고 독특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디 인간과 자연이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자연에
어를 낼 수 있는 능력 관심을 가지고 자연을 탐구·보호할 수 있는 능력
있는가? 24 Ⅰ .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1. 자아 이해와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 25
- 지금까지 가장 기억에 남는 성공 경험은 무엇인가?
• 진로를 정할 때 학생들이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이 일치하면 고
민이 적지만, 일치하지 않을 때는 고민하게 된다. 이런 점을 고려
ଵҊ ੗ܐ
하여 이 단원에서는 잘하는 것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 적성을 몰라서 헤매는 사람들에게 조언하는 관련 동영상을 보여
è о٘ց੄ ׮઺ ૑מ ੉ۿ
준다. 가드너(Gardner)의 ‘다중 지능 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능력은 다양하
೟ࢤ ഝز 며, 개인에 따라 탁월한 영역이 다르다. 가드너는 아래 그림과 같이
여덟 가지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능력들은 학습과 경험에 의해
• <열려라! 생각>과 동영상 자료를 보면서 나의 적성은 무엇인지
서 길러질 수 있다고 보았다.
생각해 본다.
출처: 임언 외, 『개정 적성 검사 보고서』.
ز৔࢚ ੗ܐ
언어 지능 수리·논리 지능 자연 탐구 지능
• CBS, 「성장문답」, ‘자기 적성을 몰라 헤매는 당신이 반드시 들어야
Ӗ੉ա ݈ ੄޷ী ֤ܻ੸ ࢎҊ מ۱җ ੗ো ࣁ҅ী ؀ೠ ੸
할 대답’(4분 35초)
؀ೠ хࣻࢿ ޹хࢿ ࣻ೟੸ ޙઁܳ ಹח ਊ ҙ଴ ੉೧ ఐ
8&# www.youtube.com/watch?v=OL2iHMBRd7g(CBS 공식 SNS 채널) ١җ ҙ۲ػ מ۱ җ੿ী ؀ೠ מ۱ ҳ ਍৔ מ۱


1-3 문제 파악 학습 목표 확인
자기 이해 지능 대인 지능
다중 지능
૑ب ݾ಴ ੗ӝ ੗नਸ ੉೧ೞ Multiple ࢎۈٜҗ ҮܨೞҊ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Ҋ ו՜ ࣻ ੓ח ੋ Intelligence ੉೧ೞݴ Үхೞח
૑੸ מ۱ מ۱
Үࢎ ഝز
• 학습 목표를 통해 학생들에게 직업 적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음악 지능 신체 운동 지능 공간 지능
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시키고, 직업 흥미와 직업 적성을 함께
ܻࣗ ܻٞ ૓زҗ ਍ز Ӑഋ ޹୏ࢿ दҕр੸ੋ ࣁ҅ܳ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 준다.
э਷ ਺੄ ࣁ҅ী ޹ ੗ࣁ ١ਸ ઑ੺ೡ ࣻ ੋ૑ೞח מ۱җ
↟૑ب࢚ ਬ੄੼↟ хೞѱ ߈਽ೞח מ ੓ח מ۱ ରਗ੸ੋ ࣁ҅ܳ ੜ
۱ ߸ഋೞח מ۱
도입 단계에 관련 영상을 적절히 활용한다.



106 각론






중등직업_지도서_1단원(82~133)_3.indd 106 2017-07-25 오후 1:13:09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