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P. 44










● 직업 교육 공급과 수요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 100명을 기준으로 103.7개의 직업 교육 자리가 공
급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 20년과 비교하여 직업 교육 자리를 구하는 청소년 수 대비 최고로 많은
직업 교육 자리가 공급되고 있다.
● 직업 교육을 시행하는 기업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에는 20.3%의 기업이 직업 교육

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기업은 필요에 따라 직업 교육생을 채용하여 교육하기 때
문에 직업 교육 시행 기업이라도 항상 직업 교육을 실시하지는 않는다. 직업 교육 시행 기업의 감소
는 소규모 기업이 직업 교육을 시행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 전체 근로자 가운데 직업 교육생의 비

율은 중소기업이 5.5%이고, 대기업은 4.6%이다.
● (이원적) 직업 교육 계약 파기 비율은 2014년 대비 0.4% 감소한 24.6%인데 이 가운데 직업 교육을
하는 기업 전환, 다른 직업 교육으로의 교체 등이 원인인 직업 교육 계약 변경도 절반 정도로 나타
나 직업 교육 중도 포기자는 직업 교육 계약 파기 비율의 절반 정도임을 알 수 있다.
● 직업 교육을 졸업하지 못한 20세에서 34세 청년의 비율도 소폭 감소하여 13.3%로 나타났다.



(2) 직업 교육 개선 방안

연방 정부는 직업 교육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원적 직업 교육의 통합 인력 강화, 이원적 직업 교육의
장점 제고, 직업 교육의 현대화와 질 개선, 직업 교육생의 유동성 지원 및 직업 교육 체계의 융통성 강

화를 직업 교육 정책의 중점으로 삼고, 직업 교육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현대화 등 강화
정책에 힘쓰고 있다. 더불어 연방 고용지원청, 주 정부, 상공 회의소 등의 경제 분야 조직 및 사회적 파
트너는 직업 교육 발전을 위해 ‘직업 교육과 계속 교육을 위한 협약’에 합의한 후 직업 교육 개선을 위
한 실질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방안을 시행·지원하고 있다. 최근 직업 교육 개선을 위해 힘을

쏟는 구체적 내용으로는 첫째, 학교와 이원적 직업 교육 과도기 과정의 개선, 둘째, 직업 교육의 현대
화와 새로운 직업 교육 규정 및 개정, 셋째, 직업 교육 장점 제고, 넷째, 계속 교육 참여 증가, 다섯째,
이주 배경이 있는 청소년과 난민의 교육 통합을 위한 발안 제도(initiative) 강화, 여섯째, 직업 교육 국
제화 및 이와 관련된 광범위한 프로그램 시행을 들 수 있다.

2015년 연방 정부는 직업 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500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직업 교육 기간 동안
언어, 직업 교육 내용, 기업·동료와의 관계 문제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이원적 직업
교육 이미지와 장점 제고를 위해 ‘너+너의 직업 교육=현실적으로 매우 탁월함(Du+Deine Ausbildung
=Praktisch unschlagbar)’이라는 캠페인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각종 회의소, 연방 고용지원청, 연방

직업 교육 연구소, 경제 분야가 협력하여 직업 교육을 하는 중소기업을 확보하고 지역 직업 교육 시장
의 수요와 공급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지역의 이원적 직업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자 잡 스타터(job
starter)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규모 기업체가 직업 교육 시행을 위한 상담 및 재정
지원 등 포괄적인 도움을 받고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난민의 직업 교육 통합을 위한 지원 정책도 확대 시행되고 있다. 연방 교육부와 연방 고용 지원청, 수
공업 회의소는 난민 청소년에게 수공업 분야 직업 교육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대략 1만 명의 청소년
을 수공업 분야 직업 교육으로 통합시킬 목표로 난민 청소년을 위한 직업 교육 지원 정책도 시행하고
있다. 학교-직업 교육 간 과도기 과정에 어려움이 있는 취약 집단 학생들이 과도기 과정의 다양한 문제

를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직업 세계에 진입하도록 돕는 것에 목표를 두고 발의한 발안 제도(initiative),
난민 학생을 위해 ‘직업 교육 과정 졸업 후 취업 지원(Abschluss und Anschluss Bildungsketten bis
zum Ausbildungsabschluss)’을 강화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주 배경이 있는 자영업자(사업자)들의
직업 교육 시행을 지원하는 카우자 프로젝트(KAUSA: Koordinierungsstelle Ausbildung und

Migration)를 통해서도 난민 학생의 직업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42 총론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42 2017-07-25 오후 1:10:02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