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P. 46
교과서와 지도서의
ǎ 개발 방향
1 교과서의 개발 방향
가. 교과서의 편찬 방향
『진로와 직업』 과목은 학생의 실제적인 경험을 중시하고,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탐색하고 결
정하며 계획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향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진로와
직업』 과목은 2015 교육 과정의 핵심 역량(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
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대 영역별로 네 가지의 교과 역량(자
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역량, 진로 탐색 역량, 진로 디자인과 준비 역량)을 설정
하였다. 한편, 『진로와 직업』 과목은 학교 교육 전반의 진로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중학교 교과와
창의적 체험 활동 등 교육 활동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진로 교육의 중심과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
고 있다. 이러한 과목의 성격을 교과서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발하였다.
기본 개발 방향 특징
• 교육 과정의 성격, 목표, 성취 기준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교육 과정을
• 초·중·고 진로 교육의 위계를 반영하여 중학교 학생의 진로 발달 단계에 맞도록 학습량을 적정화하였다.
충실히
• 중학생의 일반적인 인지 수준과 진로 발달 경험 수준에 맞는 내용을 선정하여 조직하였다.
구현하는
•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개인별·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기 위하여 학습 활동의 난이도를 조
교과서
정하여 배치하였다.
• 핵심 역량을 지향하는 교과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을 연계하여 학습한 후 학생 스
스로 자신의 역량을 평가하도록 구성하였다.
바른 인성과 •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하여 타
창의·융합적
교과와 연계한 학습 활동을 개발하였다.
사고력을 갖춘
• 진로 교육의 중심과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하여 자유학기제 등과 연계하여 활동할 수 있는 학생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과서 참여 중심의 활동을 대단원별로 구성하였다.
• 학생들이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바람직한 심성과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성 교육의
관점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아니라 학생들이 주어진 학습 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활동 후
학습자
에는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모둠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중심의 교과서
• 학생의 생활 경험을 반영한 내용으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도록 개발하였으며,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학
생들이 실생활에 적용시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현상이나 인물 및 사례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44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