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P. 50










2 지도서의 개발 방향




가. 지도서의 편찬 방향


이 지도서는 교사가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 목표를 수업 현장에서 달성하는 데 실질
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편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개발하였다.





• 교육 과정을 충실히 설명하였고, 교과 교육 연구에 도움
이 되는 국내외의 최신 진로 교육 동향을 안내하여
교과서의 편찬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교과서의 활용 방법, 연간 지도 계획, 차시별 수업 지
도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교수·학습 활동에 필요한 온라인 전산망, 동영상 등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시하였다.
• 창의적 체험 활동, 자유학기제 등과 연
계하여 융·복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 교과서 본문을 통째로 사진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으로 보여 주고 차시별 수업

방법을 상세하고 알기 쉽게 안내하였다. 지도안에 해당 교과서 페이
• 수업 현장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교 지를 제공하여 교과서와 지
수·학습 자료와 평가 자료, 평가표 양 교과서를 도서의 연계성을 높였다.
식을 총론과 부록에 수록하였다. 상세하고 충실하게
안내하는 지도서


교수·학습
자료와 평가 자료를 교과서와
풍부하게 제시하고 유기적으로
활용 방법을 안내 연계되는 지도서
하는 지도서
૑بࢲ੄
ಞଲ ߑೱ



교과서의
현장 중심의 학습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지도 방법을
안내하는 지도서 상세하게 제시하는
지도서






• 교과서 구성 체제에 따라 학습 내용의 지도 방법을 상
• 수업 현장의 특성에 맞춰 수업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세하게 제시하여 지도서의 활용도를 높였다.
34차시와 68차시 수업 구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 차시별로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고 학생
• 학생의 개인차(진로 성숙도, 적성, 흥미, 가치관 등)를 고려
의 핵심 역량과 교육 과정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을 평
한 수준별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지도 계획과 학습 자료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도구를 상세하고 알기 쉽게
를 제시하였다.
안내하였다.





48 총론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