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P. 55










(3) 『진로와 직업』 수업은 수업의 주제나 영역별로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다. 예를 들
어,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에서는, 진로·직업 관련 사이트나 각종 표준화된 검사,
직업 카드 등을 활용하되, 검사 결과를 토대로 확산적인 탐색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일과 직
업 세계 이해’ 및 ‘진로 탐색’ 영역에서는 진로·직업 관련 사이트나 신문·방송 매체, 현장 체험

학습, 외부 인사를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하도록 지도한다. 다양한 진로
경로 탐색을 통해서 학생 개개인이 역할 모델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고등학교를 비롯한
중학교 졸업 이후의 교육 경로도 다양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진로 디자인과 준비’ 영

역에서는 학생 개개인이 진로를 계획하여 수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자료 등을 제공한다.




다. 유의 사항

(1) ‘진로’, ‘직업’의 의미를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것으로 수립하도록 지도한다.

『진로와 직업』 수업에서 다루는 진로나 직업의 의미가 학교 밖 사회에서 보편적이고 학생 각각의
현실적 여건에 비추어 실천 가능한 것이 되도록 유의한다.
(2)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주가 되는 수업이 되지 않도록 한다.
중학교 과정에서 진로와 관련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학생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과 연계한 지도 계획을 수립한다.
(3) 학습 활동에 소외되는 학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협동 학습과 같이 학생들이 조별로 활동하는 수업에서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되도록 모니터링 한다.

(4) 지역 사회에서 접근 가능한 인적 자원 및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지역 사회 내 성공한 직업인을 활용하여 강의를 진행하거나, 공공·민간 기관에 학생
들이 방문하여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직업 체험 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단, 대규모 강의 방법
을 지양하고, 소규모 집단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중학교 『진로와 직업』 은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중학생 수준에 적합한 내
용을 다루도록 한다.



































Ⅲ.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53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