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P. 58










나. 토론 학습

1 개념

토론은 공동의 문제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검토하며, 그 문제에 대해서 지식, 이해,

판단, 의사 결정, 해결 방안 등을 향상시키려는 집단적인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이때 토론 참여자들은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그 과정에서 갑론을박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토론 학습은
일반 강의식 수업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 학습에 효과적이고, 사고력
을 키워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토론을 『진로와 직업』 교과 교수·학습 활동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직업윤
리 덕목을 파악하고, 직업윤리는 왜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역할과 활동을 강조하고, 또래 학생들 간에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여 집단 내에서 주어진 문
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토론 학습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3> 토론 학습의 장점과 단점


장점 단점

•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학습 동기와 흥미가 유발됨.
• 토론 주제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과 이해가 필요함.
• 집단 활동 기술과 협력의 과정을 습득할 수 있음.
• 준비, 계획, 실행 단계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됨.
•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협조적인 분위기를 조성함.
•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보다는 불성실한 참여가 우려됨.
• 대화를 통한 상호 의견 존중과 교환이 가능함.
• 소수 토론자에 의한 토론 분위기 주도 우려가 있음.
• 일관성 있는 주장으로 의사소통 기술을 연습할 수 있음.
• 평가에 대한 부담과 불안 심리가 가중될 수 있음.
• 사회적인 기능 습득과 민주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음.


2 토론 학습의 유형

토론 학습의 유형을 구분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표는 토론을 지켜보는 청중의 유
무에 따라 여덟 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중에서 학교 수업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네 가지 유형
을 소개한다.


<표 14> 토론 학습의 유형별 특징


구분 토론 학습의 특징
버즈 토론 6명의 학생들이 소집단을 구성하고, 6분간 토론 후 전체 학생에게 발표


브레인스토밍 10명 이내의 학생들이 서로 비판하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다양한 의견 제시
청중 없음.
원탁 토론 5~10명의 학생들이 원탁에 앉아 자유롭게 논의하면서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

분임 토론 4~6명의 학생들이 공동 주제를 소집단별로 나누어 토론한 후 전체 회의에서 발표

패널 토론 찬반 의견을 가진 전문가 학생 패널이 토론한 후 청중의 질문에 응답

심포지엄 전문가 학생들이 동일한 주제로 강연 후, 다른 발표자와 청중의 질문에 응답
청중 있음.
포럼 대표 학생의 토론 또는 강의가 끝난 후 청중들과 대규모 공개 토론

세미나 공동의 관심을 가진 학생들이 연구하고 발표한 후 토론하며, 청중과 질의 응답




56 총론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