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P. 63
프로젝트(project)는 ‘던진다’, ‘생각하다’, ‘구상하다’, ‘계획하다’, ‘연구하다’의 뜻을 갖고 있다. 그러
므로 ‘프로젝트 학습’이란 머릿속에 가진 생각을 외부로 내어 던짐으로써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
하기 위해 학생 스스로 계획을 세워서 시행하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즉, 학생들 스스로 자신
이 하고자 하는 활동의 과정을 계획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배려한 수업이므로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책임감이나 적극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수업 전략이 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은 문제 해결 학습이 언어 활동과 사고 활동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문제 해결 학습에서 한 단계 더 발전시킨 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은 교사의 지도와 동시에 학생이 생활에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문제를
설정하고 계획하며 해결해 나가는 학습 방법이다. 즉, 프로젝트 학습은 결과를 가져오는 목표를 생각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 학교 신문이나 문예지의 편집, 통계나 도표의 작성, 시나 단편의 창작, 사
건의 극적 연출 등의 학습 활동은 당연히 프로젝트 학습에 포함된다. 따라서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
법은 교육 현장, 특히 기능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이다.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의 특징이자 장점은 첫째로, 종래의 주입식 교수를 배격하고 학생들의 자
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활동을 촉구한다. 둘째로, 학생 자신의 계획, 구안, 문제 해결의 실천을 거쳐
서 지식과 경험을 종합적으로 획득한다. 셋째로, 실제의 생산 활동을 자연환경 속에서 전개시킨다. 그
러므로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이자 장점은 학습자의 실제적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교육 원리에
기반을 두어, 어떠한 입장에서나 문제 해결의 학습 활동을 강조한다는 데 있다.
2 과정
프로젝트 학습의 과정은 Katz와 Chard(1989), 김대현의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참고한 김상욱
(2000), 박신영(2000)의 연구에서 제안한 과정을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주제 선
정 및 주제망 작성, 프로젝트 학습 계획, 프로젝트 실행, 평가의 4~6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들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고, 두 요소가 합쳐 하나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진행의 순서가 달라질 수도
있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9> 프로젝트 학습 과정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주제 선정 및 프로젝트 학습 프로젝트
평가
주제망 작성 계획 실행
(1) 주제 선정 및 주제망 작성
주제 선정은 학생들의 흥미, 교육 과정·학부모·학교·사회의 요구, 자원의 가용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처음에는 교사가 선택하여 제시할 수 있으나, 학생들이 학습 방법에 숙달되어 갈수록 교사
와 학생이 함께 학습 주제 및 내용을 협의·조정해 나갈 수 있다.
(2) 프로젝트 학습 계획
주제망이 완성되면 프로젝트에 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문헌을 골라 보고 여러 가지
조사 방법의 대안들을 준비하여 교사와 상의한다. 또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알
아보고 계획을 짜면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연구 계획서를 작성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교사·학생 주
Ⅲ.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