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P. 67
<표 17> 협동 학습 모둠 구성 인원과 장단점(정문성, 조성태, 서우철, 2010.)
구성원 장점 단점
두 명 상호 의존성이 높음. 한 사람의 영향이 너무 큼.
짝 활동을 할 수 없음.
세 명 의사 결정이 쉬움.
한 명이 소외될 가능성이 있음.
네 명 짝 활동을 잘 활용할 수 있음. 2 : 2가 되어 의사 결정이 곤란할 수 있음.
의사 결정이 쉬움.
다섯 명 홀수가 되어 소외 학생이 생길 수 있음.
충분히 다양한 생각을 얻음.
여섯 명 충분히 다양한 생각을 얻음. 소모둠의 특징이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4) STAD 단계
STAD는 교사의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2> STAD의 단계
소집단 점수의
교사의 수업 안내 소집단 학습 평가
게시와 보상
① 교사의 수업 안내: 수업이 시작되면 교사는 우선 단원의 전체 개요를 직접 교수한다. 이는 구체적
학습을 하기 이전에 전체 학습 내용의 대강을 파악하여 학습 활동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여 주려는
것이다. 교사가 직접 강의를 할 수도 있고, 비디오나 OHP 등 학습 자료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때
로는 초청 강사나 자원봉사 학부모를 동원할 수도 있다. 이는 협동 학습의 기본 정신 중의 하나로
가용 자원을 많이 동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사는 전체 학급을 대상으로 도입(opening), 전개(development), 연습(guided-practice)의 순으로
수업에 대한 안내를 한다. 이는 교사에 의한 직접 교수나 강의 및 토의식으로 이루어지는 단계인데,
이것이 기존의 전통적 수업과 다른 점은 학생들이 주의를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즉, 자신
들이 해야 할 소집단 활동의 방향과 소집단 활동이 끝난 뒤 치를 퀴즈 시험의 중요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설명보다는 다양한 시청각 교재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한 차이점이다.
② 소집단 학습: STAD에서 소집단은 보통 4~6명으로 구성한다. 이때 소집단 구성원은 성별, 성적,
성격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이질적으로 구성한다. 소집단이 구성되면 소집단 구성원 각자의 역할
분담을 정하도록 한다. 각자의 역할은 수업 내용에 따라, 구성원의 특징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한 소
집단 리더는 선출해서 소집단 활동의 진행을 순조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외에 기록 담당, 자료
담당 등의 역할들을 협의해서 분담한다. 소집단이 구성되었으면 소집단 활동의 규칙을 교사가 게시
판이나 흑판에 게시한다. STAD의 소집단 활동의 최소한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단, 교사가 소집단
활동을 격려하기 위해 나름대로 여러 가지 규칙을 더 제시할 수도 있다.
소집단 활동을 하기 전, 교사는 각 소집단에게 두 장의 학습 과제지와 두 장의 정답지를 나누어 준
다. 학습 과제지를 네 장을 주지 않고 두 장만 주는 까닭은 네 장을 줄 경우 각자 개별적으로 학습
활동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두 장을 주게 되면 대개 짝을 지어서 학습하게 된다. 또 다른 방
법은 학습 과제지를 한 장만 주고, 한 학습자가 과제를 읽고 모두 그 과제를 해결한 다음에 구성원
모두가 똑같은 답을 얻었는지 확인한 후 답을 기록한다. 만약 얻은 답이 다르다면 토론을 통해 모두
통일된 답을 얻어야 한다. 그런 후 다음 과제를 또 다른 학습자가 읽고 같은 방식으로 과제를 모두
해결한 후에 교사로부터 정답지를 얻어 결과를 확인하고, 내놓은 답이 왜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
를 서로 토론하여 과제를 익힌다.
Ⅲ.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