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P. 66










(3) 협동 학습 모형 분류

<표 16> 협동 학습 모형 분류(정문성, 조성태, 서우철, 2010.)


구분 사례

과제 중심 모형 지그소(Jigsaw) 모형, 모둠 탐구(Gl) 모형, 협동을 위한 협동(co-op co-op) 모형

보상 중심 모형 모둠 성취 과제 분담(STAD) 모형, 모둠 게임 토너먼트(TGT) 모형
교과 중심 모형 모둠 보조 개별(TAI) 모형, 읽기·쓰기 통합(CIRC) 모형, 일화 의사 결정(DME) 모형

Kagan 모형 암기 숙달 구조, 사고력 신장 구조, 정보 교환 구조, 의사소통 기술 구조

함께 학습하기(learning together) 모형, 찬반(pro-con) 모형, 시뮬레이션 모형, 온라인 협동 학습 모형,
기타 모형
짝 점검(dayds) 모형

이 중에서 모둠 성취 과제 분담(STAD: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 모형을 보다 자세

히 알아본다.
모둠 성취 과제 분담(STAD) 모형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보상 중심의 협동 학습 모형으로
개인별 형성 평가 결과, 자신의 기본 점수에서 향상된 점수만큼 모둠 점수에 기여하게 되고 모둠별로

보상이 주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 모형의 절차는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단계에서는 4~6명의 이질적인 모집단을 구성하고 수업 목표를 제시한다. 2단계는 팀 내 협동 학습
으로 두 명씩 짝을 지어 팀 구성원 모두가 학습 내용을 이해할 때까지 팀 학습을 진행한다. 이때 학습
과제지와 정답지가 모두 주어지므로 정답을 맞히는 것을 넘어서 학습 과제를 모두 이해해야 한다. 3단

계는 평가 단계로 팀 학습이 끝나면 개별적으로 시험을 보고 개인의 점수를 받는데, 자신이 이전까지
시험의 평균 점수를 초과한 향상 점수만큼 팀 점수에 기여하게 된다. 팀 점수를 산출하고 우수 팀을 게
시한 후 집단으로 보상한다.

보상에는 크게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가장 기여도가 크거나 점수를 많이 얻은 학습자에게 최상의
보상을 해 주는 형평 체제, 학습자의 기여도나 점수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모든 학습자에게 동일한
보상을 주는 평등 체제, 학습자에게 차별적 보상을 하지만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보상하는 것이 아니
고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보상하는 필요 체제가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보상 체제를 적절히 조화시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는 대표적인

협동 학습 모형이 STAD(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이다. 이 모형은 협동 학습 모형 중
에 가장 오래되고, 널리 사용되며, 간단해서 협동 학습을 처음 시작하는 교사에게 가장 적합한 모형이
라고 알려져 있다.

STAD는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연구 개발된 STL(Student Team Learning) 프로그램 중의 하나이
다. STL 프로그램의 기본적 아이디어는 학생들이 함께 학습하고, 자신뿐만 아니라 서로의 학습에 책
임을 지게 하며, 모든 소집단 구성원이 주어진 학습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소집단 목표(소
집단의 성공)를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소집단 목표의 달성, 즉 소집단의 성공은 소집단
보상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64 총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