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P. 61










는 기계적 학습과는 달리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중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가 해결할 방법을 발견할
수 있도록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 문제를 분석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능력, 자료를 비판하고 조직하는 능
력, 시안을 작성하고 음미하는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기르는 학습 형태이다.



2 과정

문제 해결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사고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진행되는 과정을 밝히는 일이 곧 문제 해결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와 관련된 중요한 변인이 된다.
Dewey(1933)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를 ‘반성적 사고’라 칭하고, 문제 해결 과정은 다음의 5단
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즉, (1) 문제의 해결책을 생각함으로써 몇 가지의 제안을 탐색하는 암

시 단계, (2) 해결하려는 문제에 있는 장애나 복잡성을 인식하고 해답을 내놓아야 할 질문을 명확히 하
는 지성화 단계, (3) 수집된 자료를 관찰하거나 조작하여 제안된 사항들이 주요한 아이디어나 가설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가설 설정의 단계, (4) 검토된 아이디어나 가설을 보다 인지적으로 정교하게 다듬

는 추리 단계, (5) 구체적인 행위 또는 인지적 조작으로 가설을 검증하는 검증 단계로 구분하였다. 한편,
Polya(1957)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1) 문제 이해(understanding the Problem) 단계 (2) 계획 수
립(devising a plan) 단계 (3) 계획 실행(carring out the plan) 단계 (4) 반성(looting the back) 단계의
4단계로 제시하였다.
Newell과 Simon(1972)은 문제 해결 과정을 정보 처리 관점에서 진술하였는데, (1) 문제로부터의 출

발 단계 (2) 문제 해결을 위한 목적 진술의 단계 (3) 문제 해결의 출발점 상태의 단계 (4) 문제 해결 방
법의 상정 단계 등이다.
또한 Gagne(1985)는 (1) 문제 제시 단계 (2) 전이 단계 (3) 평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유의

해야 할 사항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문제 제시 단계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습자에게 문제가 의
미 있는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즉, 학습자가 이해하는 수준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전이의 단계에
서 학습자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여러 가지 문제 해결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평가 단계에서는 학
습자는 문제가 적당한 시간 안에 적당한 노력으로 목표에 달성하고 있는지를 평가하여야 한다(임선빈,
1996.).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문제 해결 학습 단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7> 문제 해결 학습 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문제 해결 방안 문제 해결 방안 결과에 대한
문제 인식 준비
설정 적용 평가


(1) 문제 인식
문제를 문제로써 인식하여 받아들이는 일이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문제가 무엇을 문제로 하
고 있는지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문제의 진술 내용, 사용된 용어들에 대해 뚜렷한 개념
으로 정의하여야 한다. 수업에서는 문제의 발견 및 선정, 교사의 제시 및 설명, 문제의 본질 파악이 이
루어진다.


(2) 준비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한 다음에는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실제 문제와의 관
련성을 검토해야 한다. 가능한 여러 가지 대안들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고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비

교·분석하여 최선의 방법을 선택할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Ⅲ.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59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