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P. 65










의미는 협동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인 조별(팀별/모둠별) 학습은 비구조화된 수업 형태로 이
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원 모두가 협동을 해서 과제를 완성할 수 있고 굳이 협동을 하지 않아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협동 학습에서는 협동을 해야만 제대로 과제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일반적인 조

별(팀별/모둠별) 학습에서는 어떤 과제에 대하여 한 모둠에서 구성원들 간의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았는데, 발표 단계에서는 발표 학생이 모둠의 생각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과제의 결과로 논리
정연하게 잘 발표하고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협동 학습에서는 이러한 일이 발생할 경우 올바른 협동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하지 않는다(김현섭, 2009.).

(2) 효과와 필요성
협동 학습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수의 집단 구성원 사이에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극대화하여 학습 목
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협동 학습에서 강조되는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은 학습자들이 사회적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는 사회적 구성주의를 토대로 한다고 볼 수 있다(Barkley, Cross, &
Major, 2005.). 비고츠키(Vygotsky)는 아동의 인지 발달이 어른 혹은 능력 있는 동료 간의 상호 작용
을 통해 발생한다고 하였다.


<표 15> 협동, 경쟁, 개별 학습 구조의 인지적 효과 비교(Johnson & Johnson, 1975.)

학습 유형 협동 학습 경쟁 학습 개별 학습

사실적 정보의 완전 습득 ○
개인적 기능 ○
단순한 기계적 기능 ○
단순한 훈련에서의 학습 속도와 양 ○
경쟁적 기능 ○
사실, 개념, 일반화된 정보의 기억 보존, 적용, 전이 ○
개념 및 원리의 습득 ○
언어적 능력 ○
문제 해결 능력 ○
협동적 기능 ○
확산적·모험적 사고와 생산적 논쟁 ○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각과 활용 ○
관점 채택 능력 ○




<그림 11> 협동 학습의 효과(Borich, 2000.)


태도와 가치를 형성하고
협동 기술을
친사회적 행동의 모델을 제공하고 향상시키고

협동 학습은 대안적 관점과 견해를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자존심을 높이며

일관되고 통합된 정체성을 형성하고 성취도를 증가시킨다.

비판적 사고 능력, 추리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촉진하고





Ⅲ.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