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P. 60










(4) 분임 토론(small-group discussion)
전체 학생이 모여서 공통의 토론 주제를 선정한 후, 4~6명의 소집단 학생으로 나누어 정해진 시간
동안 토론을 하는 방식이다.


토론 형태 토론 순서

사회자
•그룹 전체가 토론 주제를 선정한다.
•소집단별로 토론 주제를 나눈다.
•소집단별로 모둠장과 서기를 정한다.
분과장 서기 분과장 서기 •소집단별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토론한다.
•전체 회의에서 소집단별 해결책을 발표한다.
•전체 토론을 통해 종합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분과장 서기 분과장 서기



3 토론 학습의 실제

『진로와 직업』에서 토론 학습 모형이 적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진로와 직업』 교과서 76~79쪽, Ⅱ
단원-2. 건강한 직업의식 형성-(2) 직업윤리는 왜 실천해야 할까? 소단원의 수업 흐름도이다.


<그림 6> 소단원의 수업 흐름도

도입 전개 정리

문제 확인 문제 탐색 개별 및 모둠 활동 평가 및 정리

•학습 동기 유발 • 학습 방법 안내 • 직업윤리의 중요 •활동 평가
• 학습 주제(학습 • 내용 파악 성 이해하기 •평가 정리
목표) 확인 (다양한 직업윤 (활동 1)
리 덕목) • 존경할 수 있는
직업인 사례 조
사 및 토론
(활동 2)


다. 문제 해결 학습


문제 해결 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은 주어진 문제를 확인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서 해
결하여 이를 일반화시키려는 교수·학습 활동이다. 학습자들이 여러 가지 문제 상황 속에서 해결 방법
을 스스로 찾아 해결함으로써 자발적인 학습 참여가 가능하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지식이나 개념을
나름대로 재구성하거나 탐구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문제 해결 학습은 일상생

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문제를 해결하거
나, 나아가 학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1 개념

문제 해결 교수·학습 방법이란 John Dewey가 체계화한 진보주의 교육 철학의 교수 방법으로, 문제를

매개로 하여 문제를 바르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학습 형태이다. 문제 해결 교수·학습 방
법 역시 Dewey의 반성적 사고 과정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탐구적 교수·학습 방법과 같은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문제 해결은 문제 공간(problem space)의 초기 상태로부터 최종 상태로 가는 최적의 길을 찾
는 과정으로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강조한다(Gayes, 1989; Greenfield, 1987; Kulik Rudnick, 1989;

Newell & Simon, 1972; Rief, 1980.). 문제 해결 교수·학습은 지식의 계열이나 무의미한 사실을 기억하

58 총론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