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P. 59
(1) 버즈 토론(buzz discussion)
주어진 주제에 대해 6명으로 구성된 소집단 학생들이 6분가량 토론하는 방식으로, 토론하는 모습이
‘벌이 윙윙거리는 것’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버즈(buzz)’라고 명명하였다.
토론 형태 토론 순서
사회자
사회자로부터 토론할 주제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는다.
6명씩 소집단으로 나뉘어 토론을 진행한다.
각 집단별로 자기소개를 한 후 분과장과 서기를 정한다.
각 집단별로 토론 주제에 대하여 6분가량 토론한다.
분과장은 각 집단의 토론 결과를 전체에게 발표한다.
사회자는 보고를 순차적으로 정리한 후 전체 진행한다.
분과장
사회자는 최종 결과에 대해 서로 보완하게 한 후 최종안을 확정한다.
서기
(2)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10명 이내의 학생들이 주어진 주제나 문제점에 대해 기존의 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참신하고 기발
한 창의적 생각을 자유롭게 제시하는 방식이다.
토론 형태 토론 순서
사회자
•사회자로부터 해결해야 할 공동 과제를 확인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론을 진행한다.
•개인별로 과제를 분담하여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표한다.
•공동 과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
•종합 토론을 한다.
•문제 해결 보고서를 작성한다.
(3) 원탁 토론(round table discussion)
5~10명 정도의 소규모 학생 집단이 원탁에 둘러앉아 정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는
방식이다.
토론 형태 토론 순서
사회자
•자유로운 의견 교환을 통해 토론할 문제를 선정한다.
서기
•의견을 교환하면서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해결 방안을 평가한 후에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한다.
Ⅲ.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