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P. 45










2 독일 직업 교육의 시사점

독일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인구 감소와 교육 수준 향상에 따른 고등 교육 참여율 증가로 직업
교육생이 감소하고 수공업 등 기피하는 직업 교육 분야가 늘어나면서 학교 교육과 직업 교육 매칭 문
제에 직면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 교육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결 과제를 확실히 인식함

으로써 실효성 있는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 교육의 상황이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독일 사회는 성공적 사회 참여가 가능한 자립적 사회 구성원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두고 있어 직업
교육 지원이 체계적이며 광범위하다. 따라서 모든 청소년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와 직업’을 찾을 수
있도록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진로 교육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이주 배경이 있거나 학력이 부

족한 청소년, 난민 등 직업 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집단의 취약점과 상황을 고려하여 그들의 능력과 상
황에 적합한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직업 교육을 하는 데 특히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기업과 이주 배경이 있는 자영업자를 적극 지

원하여 미래 전문 인력 채용의 어려움에도 대비하고 있다.
독일의 직업 교육은 현장이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을 적시에 공급하기 위해 현재의 사회 경향을 적
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산업 부문의 디지털화를 직업 교육에 적극 반영하여 직업 교육 내용과 체계
도 현대화하고 있으며 급격히 증가한 난민을 미래 사회의 잠재력으로 보고 이들을 직업 교육에 통합시
키기 위한 폭넓은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정 직업 교육을 기피하는 청소년이 증가하고 지역 간 격차로 직업 교육의 비매칭 문제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위해 정부, 연방 고용 지원청, 각종 상공 회의소, 경제 분야, 노동조합 등 관련 기관과 협회
가 협력을 강화하면서, 수요가 많은 직업 교육 자리는 공급을 늘리고 교육 수준이 낮아 기피하는 직업

교육 분야는 교육의 질 향상과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직업 교육은 정부뿐만 아니라 다
양한 관련 기관이 협력해야 성공적 운영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여러 영역의 관청 및 단체의 연계 협력
은 궁극적으로 수요자를 위한 질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힘이 되고 독일의 우수한 직업 교육
운영의 토대가 된다. 이러한 협의와 조정은 사각지대와 중복 지원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실효성
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출처: 한국 교육 개발원 교육 정책 네트워크 정보 센터(http://edpolicy.kedi.re.kr/EpnicForum/Epnic/EpnicForum02Viw.
php?AC_NumO=19834&;AC_Code=Doo10201)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43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43 2017-07-25 오후 1:10:02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