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58





.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

4차시 5차시



3 청소년기의 정서적·사회적 발달 특징 4 긍정적 자아 정체감의 형성
↳ 정서적 불안정 ↳ 자아 존중감
↳ 부모와의 관계 변화 ↳ 긍정적 자아 정체감
길잡이 청소년기에는 내 마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길잡이 나는 어떤 사람이고,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 사회적 관계의 확대
국어·도덕
Link&Think 청소년기에는 급격한 신체 변화와 성적 성숙을 경험하게 되면서 정서적·사회적으 청소년기에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등을 고민하며 자신 자존심과 자아 존중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로도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청소년의 심리적 불안정과 불균형을 에 대하여 느끼고 아는 과정에서 자아 정체감이 형성된다. 자존심과 자아 존중감은 둘 다 자신
http://www.kywa.or.kr 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다. 자존심
가져올 수 있다. 자아 정체감이란 자신이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존재라는 것을
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자신이 더
대부분의 청소년은 심각한 어려움 없이 청소년기를 잘 극복해 나가지만 일부 청소 인식하는 것이다. 자아 정체감이 어떻게 확립되는가에 따라 이후의 삶에 영향을 미 훌륭하다고 느끼는 마음인 반면, 자
아 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년들은 새로운 변화에 잘 대처하지 못하고 우울증, 비행, 중독 등의 불안정한 심리 치게 되므로 청소년기에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사랑하는 마음이다.
반응을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가족들의 따뜻한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자아 존중감이다. 자아 존중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고, 친구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 감은 스스로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자아 존중감이 높을 때 긍정적 자아
특히 청소년기에는 구속과 간섭이 싫어지고 독립심이 강해지면서 부모와 갈등을 빚 정체감도 형성될 수 있다.
기도 한다. 또한 또래 친구와 이성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에게도 관심이 많아져 새로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존재
운 사회적 관계를 맺게 되고, 이를 통해 대인 관계의 중요성과 예의를 배우게 된다. 가 가치 있고 소중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신만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분야를 파악하여 능력을 발휘해 나가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어른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인정받을 때 자아 존중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청소년기 이전에는 부모의 영향을 가 청소년기의 친구는 애정, 동정, 이해 나도 같은 ※나의 자아 존중감을 체크해 보자.
장 많이 받지만 청소년기에는 학교에 의 대상이며, 부모로부터 자율성과 내용 항상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연우의 생각을 하고
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선생님의 영향 독립을 얻는 데 지지를 받으며 고민 있었어.
생일 선물을 준비 ① 나는 내가 다른 사람보다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을 많이 받게 된다. 부모, 선생님 등 어 을 나눌 수 있는 대상이다. 같은 고
하려고 해.
른과는 대화를 통해 서로의 상황을 이 나에 대한 민을 하고 비슷한 경험을 하는 친구 ② 나는 내가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해하고 예의를 지키면서 바람직한 관 는 빨리 친해지며, 강한 친밀감으로 ③ 나는 대체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것은 스스로 결정
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고 싶어! 행동이나 외모, 생각 등이 비슷해지 ④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을 잘할 수 있다.
기도 한다. 또한 이성 또래 집단으로
⑤ 나는 남들에게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관심이 옮겨 가면서 이성 교제를 통
부모님의
해 성 역할을 배울 수 있다. ⑥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응원이 힘이 돼!
⑦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
그림 1-5 청소년기의 다양한 인간관계
⑧ 나는 나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으면 좋겠다.
⑨ 때때로 나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로 느껴진다.
내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할 때 마음을 안정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지 써 보자. 적용하기 ⑩ 때때로 나는 내가 전혀 능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총점
안내 계산하는 법 총점
①, ②, ④, ⑥, ⑦번 문항 30점 이상: 자신을 아끼고 사랑함.
항상 그렇다(4점), 대체로 그렇다(3점), 보통이다(2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1점) 20~29점: 자아 존중감이 보통 수준임.
③, ⑤, ⑧, ⑨, ⑩번 문항
19점 이하: 자아 존중감이 낮은 상태임.
항상 그렇다(1점), 대체로 그렇다(2점), 보통이다(3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4점)
그림 1-6 자아 존중감 체크 리스트 ※출처: 로젠버그(Rosenberg), 자아 존중감 척도
16 1. 청소년의 이해 01.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
17 17
16
소주제 ❸과 길잡이 소주제 ❹와 길잡이
지도상의 유의점 | 청소년기의 정서적 불안정은 당연한 변화이지만 자신의 노력으 지도상의 유의점 |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아 존중감과 긍정적인
로 조절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자아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국어·도덕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http://www.kywa.or.kr
◆ 국어적인 의미와 도덕에서 이야기하는 도덕적 삶과 자아 정체성과의 연관 관
청소년 정책을 담당하는 여성가족부 산하 기관으로 청소년기의 정서적 불안정을
계를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긍정적인 활동을 통해 승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해 볼 수 있다.
◆ 이외에도 자부심이나 자기애 등 자아 존중감과 유사한 단어를 비교하며 자아
존중감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고 아끼는 마음임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청소년기의 다양한 인간관계
그림 설명
청소년기의 인간관계는 점차 가정에서 사회로 확대된다. 부
[그림 Ⅰ-6] 자아 존중감 체크 리스트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로젠버그가 고안한
모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던 이전과 달리 청소년기는 선생님, 또
자아 존중감 척도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림은 로젠버그의 자아 존중감 척도 속
래 친구, 이성 등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그 영향력도 문항들을 발췌한 것으로 이 문항들에 비춰 내 모습이 어떠한지 살펴볼 수 있다. 그
러나 이렇게 질문에 의식적으로 답하는 형식만으로는 개인의 자존감이 얼마나 높
커진다. 특히 독립심이 강해지면서 부모와의 거리를 두게 되고
은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이처럼 자아 존중감은 쉽게 측정하기도 어렵고 한 가지
갈등을 빚기도 하는데, 이때 청소년기의 부모와 자녀의 대화도 면에서만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복잡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질문하기’와 ‘경청하기’가 매우 중요하다. 서로 마음을 나누는 자아 정체감의 형성 자아 정체감은 인지적 요소인 ‘자아 개념’과 정서적 요소인 ‘자
아 존중감’에 의해 형성이 되며, 자아 존중감이 높은 경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
대화를 하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서로가 마
아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음을 읽는 방법을 공유해 갈 때 부모와 자녀는 서로에 대한 이
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자아 정체감
타인과 구별되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존재로 자신을 인식하는 것
자아 개념 자아 존중감
점검 포인트 |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을 돌아보면서 정서적 불안을 해
소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으로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인지를 점검한다. 학업 능력, 운동 능력, 외모와 같은 자신에 대한 긍지와 믿음, 자신감
구체적 영역에 대한 자기 평가로 등의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예시 운동하기, 취미 활동하기, 명상하기, 친구와 수다 떨기 등
답안 인지적인 측면 마음으로 감정적 측면
1. 청소년의 이해 01.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
56 57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56 2017-07-28 오후 12:59:18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