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61










도움 자료
점검 포인트 | ‘나’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신의 발달 특징을
평가하기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형성했는지를
자아 정체감의 형성
평가한다.
청소년기에는 스스로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이 되기를 원하는가?
자기 평가
등의 질문을 하게 된다. 사실상 청소년기는 자신을 새로이 창조하는 시기
평가
라기보다는 이미 있는 자신을 발견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기준 주제의 효율적인 탐구 방법과 발표 형태를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는가?
이해는 자기 인식에서 출발한다. 청소년의 자기 인식은 자아 개념과 자아
우수 주제를 효율적으로 탐구하는 방법과 발표 형태를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다.
존중감의 발달을 초래한다.
보통 주제를 효율적으로 탐구하는 방법과 발표 형태를 계획하였다.
자아 개념은 신체적 특징, 개인적 기술, 특성, 가치관, 희망, 역할, 사회적
신분 등을 포함한 ‘나’는 누구이며, 무엇인가를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 주제를 효율적으로 탐구하는 방법과 발표 형태를 구체적으로 계획하지 못하
미흡
개념은 아동에서 청소년으로 성숙해 가면서 발달하는데, 형식적 조작기 사 였다.
고의 특징인 추상적 사고가 자아 개념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아 평가 주제에 대한 조사 활동이 성실히 이루어지고, 이를 객관화하여 잘 서술하였
기준 는가?
개념이 자아에 대한 인지적 측면이라면 자아 존중감은 감정적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인지적으로 형성된 것이 자아 개념이고, 주제에 대한 조사 활동을 성실히 하였고, 객관적으로 자신에 대한 서술이 이루
우수
자기 존재에 대한 느낌이 자아 존중감이다. 청소년기의 여러 가지 스트레 어졌다.
스는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보통 주제에 대한 조사 활동을 성실히 하였으나 자신에 대한 서술이 미흡하다.
청소년은 아동기의 구체적 사고에서 벗어나 추상적 사고가 가능한 형식
미흡 주제에 대한 조사 활동을 하지 않았고 자신에 대한 서술이 미흡하다.
적 사고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발달된 인지 능력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견해
평가
뿐만 아니라 타인의 입장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 그림이 주제와 부합하고, 창의적으로 그려졌는가?
기준
서 자신의 신체적 특징, 기술, 희망, 자기 가치에 대한 스스로의 견해뿐만
우수 그림에 주제가 잘 드러나며 표현이 창의적이다.
아니라 타인이 자신의 행동과 태도에 대해 갖는 견해도 모두 반영하여, 자
신은 여러 타인과 구별되는 유일하고 독특한 존재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보통 그림에 주제가 잘 드러나지만 표현이 창의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과정이 자아 정체감의 형성 과정이다. 미흡 그림에 주제가 드러나지 않고 표현이 창의적이지 못하다.




도덕성의 발달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의 단계
• 타율적 도덕성 단계: 권위에 대한 복종에 근거하여 도덕적인 행동을 나의 성찰
한다.
• 자율적 도덕성 단계: 인지적인 발달과 함께 여러 측면에서 상황을 파 • 이 단원을 배운 후 자신이 잘할 수 있는 부분과 보완해야 할 부분을 솔직
악하고 결과뿐 아니라 의도를 고려하는 자발적인 통제를 한다. 하게 적도록 한다.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의 단계 • 이 단원의 핵심 역량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과 관계 형성 능력이므로,
도덕성 발달을 모두 6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단계에서는 각기 다른 인지 이 부분이 향상되었는지, 좀 부족한 요소는 어느 부분인지 확인한다.
능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된 청소년은 4단계 • 향상된 부분과 부족한 부분에 대한 자기 성찰 시간을 갖도록 한다.
에 해당하며 자신을 사회의 일원으로 생각하게 되고 사회의 기준에 따
라 행동을 평가하게 되며 사회 질서를 위해 법을 준수하는 것이 도덕적 실천적 문제 자신의 모습을 청소년기 발달 특징에 적용하여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해결 능력 긍정적 자아 정체감 형성을 이룰 수 있다.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3. 도덕적 딜레마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아 정체감 형성을 바탕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
관계 형성 능력
 • 나의 단짝 친구는 착하지만 가끔씩 남몰래 담배를 피운다. 부모님 할 수 있다.
이 아시게 되면 걱정하실 테니 비밀을 지켜 달라고 한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미래
• 우정을 위해서 비밀을 지켜 줘야 할까? 아니면 친구의 건강을 위 자기 관리 역량 를 준비할 수 있다.
해서 친구의 부모님께 이 사실을 말씀드려야 할까?
→ 어떤 것이 도덕적인 행동인지에 대하여 토론해 본다.



성장의 개인차 - 조숙과 만숙
청소년기의 신체 발달 정도는 개인차가 커서 성장을 일찍 끝내는 것을
조숙이라 하고 늦게 성숙하기 시작하는 것을 만숙이라고 한다. 조숙과 만
숙은 청소년의 성격 및 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데, 발달의 개
인차로 인한 갈등은 남과 나의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01.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
58 59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59 2017-07-28 오후 12:59:19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