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89










당류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칼슘 함유 식품을 이용한 식단을 개발하
단당류 | 단당류란 산·알칼리·효소 등에 의해 더 이상 가수분 거나 식사 지침을 제공하는 등 전 생애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
해되지 않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탄수화물을 말한다. 는 칼슘 섭취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우유 섭취가 상대
• 포도당: 체내 당 대사의 중심 물질로서 생체계의 가장 기본적 적으로 낮은 연령대에 대해서는 우유 및 유제품의 활용도와 칼
인 에너지 급원이다. 채소나 과일에 많고, 특히 포도의 액즙에 슘 섭취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많이 함유되어 포도당이라고 한다.
• 과당: 과일과 꿀 속에 존재하며, 당 가운데 단맛이 가장 강하 인
다. 설탕과 전화당의 구성 단위이다. 최근 인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어서 인 함유 식품을 섭취할
• 갈락토오스: 자연계에 단독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포도당과 결 때는 칼슘의 비율을 고려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칼슘은 인과
합하여 유당(lactose)이라 불리는 이당류의 형태로 존재한다. 결합해 염을 형성하므로 칼슘과 함께 섭취하면 인이 흡수되지
포도당보다 단맛은 약하고 물에 녹기 어렵다. 못하고 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 특히 보충제나 식품 첨가물을
이당류 | 가수분해될 때 두 개의 구성단위로 분해되는 당류, 즉 통한 인의 섭취량을 낮추기 위해 가공 식품의 섭취를 자제할
두 개의 단당류를 형성하는 당류를 이당류라 한다. 것을 권고하였다. 인의 함유 식품은 주로 질 좋은 단백질 식품
• 설탕: 자당,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한 당이다. 채소나 과일의 액 으로 육류, 어류, 달걀, 우유가 있으며, 식물성 식품으로는 견

즙에 많고 특히 사탕수수, 사탕무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과류, 채소와 곡류, 두부 등이 있다.
• 맥아당: 보리에서 맥아가 발아할 때 생성된다. 맥아당은 2분자
의 포도당으로 구성된다. 밥을 오래 씹으면 침 속의 효소 프 아침밥 거르면 체중 증가 위험을 높인다
티알린(ptyalin)에 의해 전분이 분해되어 맥아당이 생성되므 다이어트를 위해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
로 단맛이 난다. 만 아침 식사를 거르면 오전에 공복감에 시달리다가 오후 식사
• 유당: 동물의 젖 속에 많으며 단맛이 적다. 유당은 물에 잘 량이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침을 거르고 오후
녹지 않고 소화도 느리다. 장내에서 유용한 세균의 발육을 왕 에 폭식하는 경우 기초 대사율과 에너지 소비량이 적어져 몸이
성하게 하여 정장 작용을 하며 칼슘의 흡수와 이용률을 향상 점차 살이 찌기 쉬운 상태로 변하게 된다.
시킨다.
올리고당류 | 3개 이상 5∼6개의 단당류로 구성된 당류를 말한 알레르기 유발 식품
다.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의 구성 성분으로서 세포 내에서는 주 특정 음식을 먹었을 때나 두드러기나 호흡기 곤란 등 이상 증
로 생체막에 부착되어 있고, 소포체와 골지체 등의 분비형 단백 세가 나타나는 것을 음식 알레르기라고 한다. 식품 알레르기는
질과 결합되어 있다. 식품에 있는 일부 단백질에 반응하여 일어나는데, 식품 속 단백
다당류 | 다당류는 에너지의 저장 형태이거나, 식물의 구조를 형 질은 대부분 조리 과정이나 소화 과정에서 분해되는데, 분해되

성하는 물질로 가수분해될 때 많은 수의 단당류가 형성되는 당 지 않고 자체로 흡수되는 일부 단백질에 의해 이상 증상을 일으
류이다. 키게 되는 것을 말한다.
• 녹말: 전분으로, 대표적인 식물의 저장 탄수화물이다. 결합 형 대부분의 가공 식품 뒷면에는 ‘~와 같은 제조 시설에서 제조
태에 따라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두 종류로 나뉘어진다. 하고 있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알레르기 유발 성분을 사용하는
• 글리코겐: 동물의 저장용 탄수화물로 근육 조직과 간에 저장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을 같은 시설에서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한다. 교차 오염의 가능성을 안내하고 있다. 한국인의 식습관 등을 고
• 식이 섬유소: 식물 체세포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에 려해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너지원으로 사용되지는 못하지만 장벽을 자극하여 장의 연동
작용을 도와주고 섭취한 음식물의 부피를 증가시켜 배변을
도와준다.


칼슘
우리 국민의 칼슘 함유 식품은 멸치, 미꾸리, 치즈, 깨, 김,
대두, 깻잎, 미역, 우유 등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대표적인
칼슘 함유 식품인 우유를 제외한 대부분의 칼슘 함유 식품은

국민 건강 영양 조사에서 도출된 다소비 식품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칼슘 섭취량의 부족이 추정된다. 그러므로 칼슘 섭취를

2. 창의적인 가정생활 01.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86 87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87 2017-07-28 오후 12:59:3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