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5
P. 195
















본문 자료

고등학교의 유형

구분 상세 구분 개요(목적)

일반 고등학교 일반 고등학교 중학교 교육 기초 위에서 증등 교육 실시를 목적으로 한다.
외국어고: 외국어에 능숙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어·국제 고등학교
국제고: 국제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 고등학교 과학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특수 목적 고등학교
예술고: 예술인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체육 고등학교
체육고: 체육인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마이스터 고등학교 전문적인 직업 교육을 위한 맞춤형 교육 과정을 실시한다.

특성화 고등학교(직업 계열)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을 대상으로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대안 계열) 자연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실시한다.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학교별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한다.
자율형 고등학교 교육 여건이 열악한 지역의 공립 고등학교 교육력 제고를 통하여 지역 간, 계층 간 교육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격차를 완화할 목적으로 한다.
기타 학교 영재 학교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한다.
출처: 고입 정보 포털(www.hischool.go.kr)
※고등학교 유형별 입학 전형은 교과서 102~103쪽 참조.





참고 자료 고입 참고 사이트

고등학교 학생 선발 제도는 어떻게 개선될까? 영역 사이트명 사이트 주소
교육부는 2016년 4월 25일 발표한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
마이스터고 http://meister.go.kr/index.jsp
획’에서 고교 선발 방법을 개선하기로 하였다. 2018년부터 공부
부산 꿈의 도전 특성화 고교 http://expert.pen.go.kr/
하는 중학생들은 이러한 고교 선발 제도에 따라 고입 전형을 실
고교
시할 가능성이 높다. 정보 서울 고교 홍보 사이트 http://hinfo.sen.go.kr
교육부의 개선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 알리미 www.schoolinfo.go.kr

① 학생의 소질·적성을 고려한 선발이 이루어지도록 시·도 교육청과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포털 www.hifive.go.kr
협의하여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이 균형적으로 반영되도록 하 경기 고등학교 입학 전형 http://satp.goe.go.kr/
포털
고, 시·도 선발 고사를 폐지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고입 정보 포털 www.hischool.go.kr
② 비평준화 지역 일반고, 자율형 공립고 중에서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
부산 고등학교 입학 전형 https://hischool.pen.go.kr:4443/
으로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및 소질·적성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 포털 index.php
입학
는 자기 주도적 학습 전형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전형 인천 고등학교 입학 전형 http://isatp.ice.go.kr/
포털
③ 특성화고 선발 방식도 기존 내신 성적 중심에서 소질·적성 중심으
전북 고등학교 입학 전형
로 전환하여 취업 희망자 특별 전형을 확대할 예정이다. https://satp.jbe.go.kr/
포털
출처: 교육부, 2016.
충북 고등학교 입학 전형 http://hsap.cbe.go.kr/
포털






Ⅲ. 진로 탐색 193







중등직업_지도서_3단원(188~231)_3.indd 193 2017-07-25 오후 1:17:53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