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P. 85
직장 내 훈련과 직장 외 훈련 비교
직장 내 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직장 외 훈련(OFF JT, Off the Job Training)
•교육 훈련이 현실적, 실제적이다.
• 현장 작업 관계없이 계획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상사나 동료 간에 협동 정신이 강화된다.
장점 • 많은 구성원을 통일된 내용으로 훈련시킬 수 있다.
•실시가 용이하며, 훈련 비용이 적게 든다.
• 직무 부담에서 벗어나 훈련에 전념할 수 있다.
• 구성원의 개인적 능력에 따른 훈련이 가능하다.
• 많은 구성원을 동시에 훈련시키기가 곤란하다.
• 작업 시간이 감소한다.
• 작업과 훈련 모두가 철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단점
• 훈련 시설의 설치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 통일된 내용으로 훈련이 어렵다.
• 훈련 결과를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하기가 어렵다.
• 우수한 상사가 반드시 우수한 교사는 아니다.
(2) 경력 개발
경력은 조직의 구성원이 조직에서 승진이나 배치 및 이동을 통하여 장기적으로 여
ERP 기출 문제
러 종류의 직무 활동을 축적한 경험을 말하며, 경력 개발은 개인의 목표 달성을 위한 인적 자원 관리의 개발 활동에 속
하는 것은?
경력 계획을 수립하여 기업 조직의 욕구와 개인의 욕구가 일치할 수 있도록 개인의 ① 모집
경력을 개발하는 과정을 말한다. ② 선발
③ 경력 개발
④ 인적 자원 계획
적재적소 배치의 원칙 승진 경로의 원칙
ERP TIP
승진의 기본 원칙
적정성의 원칙, 공정성의 원칙, 합
경력 개발의
원칙 리성의 원칙
후계자 양성의 원칙 경력 개발 기회의 원칙
(3) 승진과 승격, 승급
승진은 조직 내에서 개인이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보다 책임과 권한이 한층 더
큰 직무로의 수직적 인사이동을 말한다. 이는 조직 내에서 동일한 책임과 권한을 가진
다른 직위로 수평 이동하는 것과 다른 개념으로, 의사 결정 권한의 강화, 지위 상승,
임금 상승, 심리적 안정감 등을 수반한다.
승격은 직무의 질이 향상됨에 따른 임금 상승으로, 직능 자격 제도의 능력 등급에
의하여 일정한 직능 등급에서 상위 직능 등급으로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승진
과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승급은 승진, 근무 연수, 업적, 물가 상승 등으로 기본급이 증액되는 것을 말한다.
1. 인적 자원 관리 83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2(076-141)-0515.indd 83 2017-07-17 오전 11:4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