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114









2 가격의 구성 요소



기업이 신상품을 개발하여 처음으로 가격을 책정할 때에는 가격의 구성 요소를 잘
파악하여 합리적인 수준에서 결정해야 한다.
구매 원가는 구매 가격과 구매 비용의 합계이고, 구매 원가와 판매 관리비의 합은

판매 원가가 된다. 판매 원가에 영업 이익을 더하면 판매 가격이 된다. 이를 식으로 나
타내면 다음과 같다.



구매 가격 + 구매 비용 + 판매비와 + 영업 이익
관리비

구매 원가 이폭(margin)
판매 원가 이윤
판매 가격


[그림 Ⅲ-13] 가격의 구성 요소






톡 톡
마케팅 대형 할인점과 소셜 커머스의 가격 경쟁

대형 할인점들이 온라인 쇼핑몰과 소셜 커머스 등을 상대로 ‘가격 전쟁’을
선포했다. 온라인의 공세에 생활필수품 시장이 잠식당하자 가격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형 할인점인 E마트는 대형 마트 업계 내
에서 경쟁해 온 틀을 깨고 온라인 몰과 소셜 커머스 등 유통 전 채널로 가격
경쟁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 첫 상품으로 온라인 쇼핑몰과 소셜 커머스 업체의 대표 상품인 기저귀를
선정, 이날부터 온·오프라인 전체 채널 최저가로 판매하기로 하였다. E마트는
앞으로도 이들 업체의 주간 가격을 관찰하여 상시 최저가로 운영할 방침이라
고 덧붙였다. 또한 “일부 업체가 한정된 적은 수량을 최저가로 내세워 소비자
를 현혹하여 가격 질서를 흔드는 관행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가격 경쟁 체계를 기저귀는 소셜 커머스 업체들의 핵심 상품 중 하
나이다.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해당 상품은 1주일간 각 5만여 개를 준비했으며, 일시적으로 품절될 때를 대비하여 ‘품절 제로 보상제’ 상품으로 지정하
였다. ‘품절 제로 보상제’는 품절로 상품을 구매하지 못했을 경우 행사 가격으로 구매를 보증하는 제도이다.


실제로 기저귀는 소셜 커머스 업체들의 핵심 상품 중 하나로, 지난해 E마트에서는 매출이 26.3% 감소하였다.
•출처: 뉴시스, 2016. 4. 10.


활동 대형 할인점에서 가격 할인을 결정하게 된 요인을 생각해 보자.


112 Ⅲ. 마케팅 믹스 전략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