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117









(3) 경쟁자 중심의 가격 결정

경쟁자 중심의 가격 결정(competition based pricing)은 같은 제품을 판매하고 하나 알기

있는 경쟁사들의 가격을 기준으로 자사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경쟁자 중심 가격 결정 목적
경쟁사의 가격을 기준으로 가격을
가격과 비용, 가격과 수요의 관계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경정하는 방법으로서 시장의 경쟁
상황, 제품의 특성에 따라 경쟁 제
품의 가격을 기준으로 가격을 결정
동일 산업 내에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평균 가격 수준을 기준으로 자 한다. 이때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시장 가격에 따른 가격 결정
사 제품의 가격을 결정함. 위해서는 가격을 경쟁사보다 낮게
책정하고, 품질이나 브랜드 인지도
가 경쟁사보다 높은 경우에는 흔히
대규모 시설이나 건설 공사에서 계약을 획득할 목적으로 경쟁자의 가 가격을 높게 책정한다.
경쟁 입찰에 따른 가격 결정
격을 기초로 하여 가격을 결정함.
[그림 Ⅲ-18] 경쟁자 중심 가격 결정의 종류


(4) 원가와 수요를 모두 고려한 가격 결정


원가와 수요 모두를 가격 결정의 기초로 삼는 가격 결정 방법이다. 가격 결정은 제
품의 원가를 기초로 하며 시장 수요를 고려하기 위하며 일반적으로 손익 분기점 분석
을 사용한다. 손익 분기점 분석은 가격을 결정할 때 총비용과 총수입이 일치하는 지

점을 발견함으로써 필요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가격 결정 방법이다.














톡 톡
마케팅 소비자 심리에 바탕을 둔 비쌀수록 잘 팔리는 제품
남들보다 돋보이거나 뽐내고 싶어서 고가의 상품을 구매하는 심리를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라고 한다. 베블런 효과는 주위 사람들에게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하여
몇 천만 원에 달하는 옷이나 수억 원대의 자동차를 선뜻 구입하는 소비 심리를 표현하는
말이다.
특히 갑자기 큰돈을 번 사람들, 부를 축적하기는 했지만 다른 면에서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 사회적 열등감을 만회하기 위해 고급 제품을 무분별하게 구입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클래식 음반을 장식용으로 사 모으거나 명품을 맹목적으로 구입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활동 위 내용을 읽고 베블런 효과에 해당하는 제품의 사례를 2가지 이상 적어 보자 비쌀수록 잘 팔리는 명품


2. 가격 전략 115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