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120









4 심리적 가격 정책



가격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로, 가격 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심리
도 변화된다. 따라서 심리적 가격 정책은 소비자 심리에 호소하는 가격 책정 방법이다.



단수 가격
단수 가격(odd-even pricing)은 어떤 제품의 가격이 3, 5, 7, 9와
997원 같은 홀수로 끝나면 소비자들이 훨씬 저렴하게 느낀다는 전제 아래
1,990원 고안된 가격 책정법이다.
2,970원 가격 끝수에 7이나 9와 같은 수를 붙이면 가격을 최대로 내린 인
상을 소비자에게 준다. 식료품이나 의류, 일용 잡화 등의 제품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단수 가격의 예



관습 가격
껌 500원 관습 가격(behavior pricing)은 오랜 세월 동일한 가격을 고수한
라면 500원 결과 소비자가 관습적으로 받아들이는 가격을 말한다. 만약 가격의
달걀 한 판 변동(인상, 인하)이 잦으면 품질에 이상이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소비자
6,000원 들의 의심을 받게 되어 판매량이 줄 수 있다. 캔 음료, 껌, 초콜릿, 달
걀, 라면 등에 사용하는 가격 전략이다. 관습 가격의 예



명성 가격
명성 가격(prestige pricing)은 가격이 높은 상품이 품질이 좋은 상
명품 가방
품(서비스)이라는 소비자 기대 심리를 바탕으로 한 가격 책정법이다.
300만 원
소비자는 고가 제품은 좋은 품질, 저가 제품은 낮은 품질이라고 생각
고급 시계
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반영한다. 한마디로 명성에 기대려는 소비자
200만 원
심리를 반영한 가격 책정으로 주로 모피, 보석, 시계 등 고급품에 적
용되고 있다. 명성 가격의 예
[그림 Ⅲ-20] 소비자의 심리에 호소하는 가격 설정 방법







톡 톡
마케팅 미끼 가격

소비자를 점포로 끌어들이고자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내세워 소비를 촉
진하는 방법이다. 덩달아 다른 취급 제품의 판매도 신장시키는 효과가 있
다. 온라인 쇼핑몰은 인기가 없는 일부 제품의 가격을 대폭 낮추어 클릭을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백화점 등은 일부 명품 브랜드의 가격을 다른
백화점보다 낮추어 명품관 방문을 유도한다.



활동 주변에서 어떤 제품이 미끼 가격으로 사용되는지 예를 찾아보자.
미끼 가격의 예

118 Ⅲ. 마케팅 믹스 전략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