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30
(2) 고용 형태의 변화
고용 형태가 과거의 평생직장이 보장되던
정규직 근로자 형태에서 비정규직 근로자 형
태로 변화하면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 불
안과 정규직 근로자와의 차별 문제 해결에 대
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도 근로 기간에 따라 임금 피크제 노사 협약
급여가 올라가는 연공제 형태의 고용에서 일
임금 피크제 정 경력이 되면 더 이상 임금이 올라가지 않는 임금 피크제 형태의 고용으로 점차 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정년을 연장, 화하고 있다. 또한 기대 수명이 연장되면서 60세 이상 고령자의 생산 활동 참여가
또는 보장해 주는 것을 조건으로 임
금을 조정하는 제도 늘어나면서 고용 계층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3) 스마트 기기와 사회생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본
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다. SNS를 통하여 서로 의견
을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사진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
플랫폼 고 또 다른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사회적 환경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 플랫폼이라는 특별한 온라인상의 장소를 통해서 사용자 간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등
는 기반으로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하나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의 장소
모바일은 젊은 층뿐만 아니라 경제 활동을 하는 대부분의 계층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도 메신저를 비롯한 다양한
50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률
단위: %, 2015년 기준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카카오톡, 라인 등
(4) 고용 인구의 이동
모바일 메신저 98.4
서비스
세계화된 고용 시장에서는 인력을 채용할 때 자국민만을 대상으로 하
지 않고 전 세계의 인재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개발 도
페이스북,
네이버 밴드 등 상국이나 저개발 국가의 인재들이 일자리를 찾아 선진국으로 이동하는
60.5
소셜 네트워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저개발 국가의 경우 고급 인력이 선진국으
서비스(SNS)
로 유출되면서 고용 시장의 질이 낮아져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더욱 커
모바일 뱅킹 38.7 지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모바일 쇼핑 23.4
•출처: 닐슨(Nielsen) 코리아
[그림 Ⅰ-6] 50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률
28 Ⅰ . 마케팅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