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25
수많은 기업이 생산과 품질 면에서 어느 정도의 높은 수준에 도달하게 되자 제품
만 가지고는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은 판매 활동
과 촉진 활동에 대한 노력을 마케팅의 기본 관점으로 삼게 되었다.
4 마케팅 지향적 개념
마케팅 지향적 개념은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사이에 나온 개념으로, 표적 시장
더
하나 알기
에서 다른 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으려면 마케팅을 중심으로 하여 기업의 조 마케팅 지향적 개념의 출현 배경
직을 최적화 상태로 구성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 대량 생산 능력에 부응한 대량 소
비의 요청
마케팅 지향적 개념은 소비자의 욕구나 가치관을 정확히 이해하고 반응하는 데 초 •정보의 중요성 증대
•소비자 교육, 소득 수준의 향상
점을 두고 모든 기업 활동을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도록 통합함으로써 기업의 목 • 대량 생산 제품에 대한 거부감
심화
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소비자 욕구 수준의 증대 및 소비
자주의의 출현
5 사회 지향적 마케팅 개념
1970년대 들어 환경 오염, 자원 부족, 인구 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마
케팅 활동이 현대 기업의 경영 활동으로 타당한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사회 지
향적 마케팅은 이러한 환경에서 나온 것으로 기존의 마케팅 개념에 소비자와 사회
구성원의 복지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더한 마케팅 개념이다. 사회 지향적 마케팅은
개인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키되, 사회적 환경과 복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즉, 기업의 이윤, 고객 만족, 사회적 이해가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표 Ⅰ-4] 마케팅 개념의 발전과 주요 요소 비교
구분 연도 소비자 관심 영역 시장 상황 기업의 과업
생산 지향적
1900~1930년 이전 제품 구입에 여유가 있음. 제품 유용성과 가격 수요 > 공급 생산 효율 개선, 원가 절감
개념
제품 지향적 가격 대비 고품질,
1930년대 품질과 가격 수요 > 공급 품질 개선
개념 좋은 제품을 선호함.
판매 지향적 필수품이 아니면 잘 구입 소비자 제품 구매
1930~1950년 이전 수요 < 공급 광고, 유통 경로 관리 치중
개념 하지 않음. 자극
표적 고객의 욕구 충족을
마케팅 지향적 생산자보다 자신의 필요와
1950~1970년 이전 소비자 욕구 충족 수요 < 공급 통한 고객 지향, 이익 지향
개념 욕구를 잘 알고 있음.
통합 활동
사회 지향적 소비자, 사회 복지 향상이 마케팅 관점 사회 복지 향상, 소비자 욕
1970년 이후 + 수요 < 공급
개념 중요시됨. 소비자 복지 증진 구 충족, 기업의 이윤 달성
1. 마케팅의 개념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