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24
4 마케팅 개념의 발전 과정
마케팅의 개념은 어떻게 발전되어 왔을까?
1 생산 지향적 개념
마케팅 개념의 발전 과정 생산 지향적 개념은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소비자는 값싸고 쉽게 구입할 수 있
마케팅의 개념은 시대 흐름에 따라 는 제품을 선호한다는 관점으로 1930년대 이전에 나타난 개념이다. 따라서 기업에
생산 중심의 마케팅에서 제품 중심,
판매 중심의 마케팅으로 변해왔고 서는 부족한 공급량을 해소하기 위해 생산 방법의 개선과 유통의 효율화 등을 통해
다시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으로 변
화하면서 발전해 왔다. 오늘날에는 생산 능률을 높여 가격을 낮추는 것만이 마케팅의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였다.
단순한 판매의 개념을 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개념에까지 이 생산 지향적 개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적용된 생산 기법은 테일러 시스템과 포
르게 되었다.
드 시스템이다.
포드의 표준화와 이동식 조립법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포드 시스템(Ford system) 테일러 시스템(Taylor system)
은 가공 대상 제품이 일정 은 생산을 효율적으로 향상
한 공정 흐름에 따라 순서 하기 위하여 도입한 과학적인
대로 각 작업자를 통과하 관리법이다. 과학적 관리법의
고 연속적으로 반복 생산 주요 내용은 작업자들의 작업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실 헨리 포드 동작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프레드릭 테일러
현하기 위하여 동시 관리와 함께 3S로 유명한 생 연구를 통하여 표준 작업량을 설정하고, 표준 작
생산의 표준화(3S) 산의 표준화를 추구하고,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한 업량을 기준으로 하루에 달성할 수 있는 표준 과
• 단순화(Simplication): 제품과 작 이동식 조립법을 적용하여 엄청난 생산성 향상을 업량을 제시한 것이다.
업의 단순화 가져왔으며, 오늘날 대량 생산의 시초가 되었다.
• 표준화(Standardization): 부품과
작업의 표준화
• 전문화(Specialization): 기계와
공구의 전문화
2 제품 지향적 개념
제품 지향적 개념은 1930년대에 제품의 종류와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때 같은 가격대라면 질이 좋은 제품을 선호한다는 관점에서 본 개념
이다. 따라서 이 시대의 기업은 경쟁사보다 좋은 제품, 차별화된 제품을 만드는 데
마케팅의 초점을 맞추었다.
3 판매 지향적 개념
판매 지향적 개념은 1930년대에서 1950년대 사이에 출현한 개념으로,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판매 기술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22 Ⅰ . 마케팅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