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고 체육탐구
P. 111









2. 오래달리기

오래달리기는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전통적인 지구성 트레이닝 방법이다. 오래 걷기와 달리기의 차이
양발이 동시에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
달리기의 대표 종목인 마라톤은 장시간 쉼 없이 운동을 수행하며, 이러한 종목에서는 점에 따라 걷기와 달리기를 구분할 수
에너지 생산 체계 및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이 매우 중요하다. 있다. 육상 경기 중 하나인 경보는 양발
이 지면에서 동시에 떨어지면 걷기가
아닌 달리기로 간주되어 실격된다. 즉,
⑴ 오래달리기의 이해 항상 발이 지면을 딛고 있어야 하므로
씰룩거리면서 걷게 된다.
오래달리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활동하는 근육에 지속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제
공할 수 있는 순환계와 호흡계의 능력인 심폐 지구력이 중요하다. 또한, 반복적으로

발을 움직여야 하므로 근수축을 지속할 수 있는 근지구력이 필요하다.


⑵ 오래달리기에 적용된 생리학적 원리
오래달리기 훈련을 통한 최대 산소 섭취량의 증가 폭은 크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증
가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꾸준한 훈련으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❶ 우리 몸과 에너지원
우리 몸은 에너지 생산 체계를 통해서 움직임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탄수화
물은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대신에 저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반면, 지방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평소에 남은
영양분을 저장하므로 저장량이 많다.

❷ 오래달리기와 체중 감량
운동 초기에는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몸에 저장되어 있

는 탄수화물이 고갈될 때부터 본격적으로 지방을 사용한다. 이는 인원질 과정에서 시
작해서 무산소성 해당 과정을 거쳐 유산소성 해당 과정에 이르는 에너지 생산 체계의

연속성을 보여 준다. 만약 체중 감량을 목표로 오래달리기를 한다면 최소 20분 이상
을 조깅 정도의 가벼운 달리기를 지속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100 70 % 지방
65
80
지방과 탄수화물의 백분율 60 탄수화물 지방 또는 탄수화물 대사의 백분율 55 % 탄수화물
60
50
지방
40
45
40
20
30
0 35
0 20 40 60 80 100 0 20 40 60 80 100 120
최대 산소 섭취량(%) 운동 시간(분)




108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10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09 2018-07-19 오후 3:16:18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