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0 고 체육탐구
P. 110
2
스포츠 활동의 생리학적 원리 적용
1. 웨이트 트레이닝
저항성 운동은 근육에 부하 또는 저항을 주는 운동으로, 일반적으로 웨이트 머신,
프리 웨이트, 탄력 밴드, 체중 부하 운동 등을 말한다.
⑴ 웨이트 트레이닝의 이해
신체미 웨이트 트레이닝은 대표적인 저항성 운동으로 바벨이나 덤벨 또는 트레이닝 머신
건강하고 생동감 있는 신체의 아름다 을 사용하여 근력을 증가시키거나 근육량을 늘리고자 할 때 실시한다. 일상생활 중
움을 의미하며, 신체미는 꾸준한 운동
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에는 하기 어려운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리거나 유지하는 동작을 통해 원하는 근육
부위에 과부하를 주는 것이 핵심이다. 스포츠 수행력을 높이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
이며, 최근에는 건강 유지 및 신체미 향상을 목적으로 많이 활용한다.
청소년기에는 근육의 비대보다는 근력 증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10~30% 정도
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꾸준한 웨이트 트레이닝은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비
만을 예방한다.
⑵ 웨이트 트레이닝에 적용된 생리학적 원리
신체의 움직임은 근수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자신의 체중이
나 중량을 이용한 등장성 수축 형태의 동작이 대부분이며, 일부 특정 자세를 유지하
는 형태의 등척성 동작도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처음 시작할 때는 운동 후에 근육
의 통증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를 지연성 근육통이라고 하며 정확한 동작으로 장기
간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면 통증의 지속 시간이 점차 짧아진다.
❶ 웨이트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한 근력의 향상이나 근육량의 증가는 운동 부하에 자극 받
은 근원섬유의 두께가 증가한 결과이며, 적절한 휴식과 충분한 단백질의 섭취가 동
반되어야 한다. 근지구력의 향상은 근력 향상과 근육 속 글리코겐 등의 에너지원 저
장량이 증가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❷ 웨이트 트레이닝 방법
웨이트 트레이닝은 부하의 강도를 계속 높이는 점진적 과부하의 원리에 따르는
것이 기본이다. 부하의 강도를 한 번에 너무 많이 증가시키거나 너무 자주 증가시
키면 운동 중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부하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지속적인 자
극을 주어야 한다. 운동 순서는 큰 근육군에서 작은 근육군의 순서로 실시하는 것
이 좋다. 작은 근육군이 큰 근육군보다 더 빠르고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이다.
108 Ⅱ. 체육과 과학 03. 체육의 생리학적 원리와 적용 10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08 2018-07-19 오후 3: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