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1 고 윤리와 사상
P. 201
해답 219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근대의 민주주의 사상은 ( ㉠ ), ( ㉡ ), ( ㉢ )을 지향하며 현대 사회에서
시민의 ( ㉣ )와 소통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용어ㆍ개념
민주주의
자유 민주주의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대의 민주주의 1) 근대 이후 자유주의 사상이 확산되자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시민들
도덕적 자율성과 책임성 의 열망은 봉건적 신분 제도와 절대 왕정을 타도하는 시민 혁명으로 분
출되었다.
시민 불복종
2) 영국의 명예혁명 이후 선언된 권리 장전(1689)에서 절대 권력을 제한하
참여 민주주의
고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는 평등주의 원리가 확립되었다.
심의 민주주의
3) 전체 국민의 자유권과 평등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자유주의와
시민의 소통과 유대
민주주의가 결합된 자유 민주주의가 등장하였다.
4) 자유 민주주의에서는 개인의 자유보다는 사회 구성원 전체의 평등 실현
핵심 내용 정리 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한다.
1 근대 민주주의와 자유 민주주의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민주주의의 기원
• 아테네의 직접 민주 정치 1) 대의 민주주의 ㉠ 대표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의 사회·경제·
•로마 공화정
생활 영역으로 확장된 참여와 유대를 강조함.
2) 참여 민주주의 ㉡ 공공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과 전문가들의 합
근대 민주주의의 발전
• 권리 장전: 입헌주의 리적 의사소통을 통한 합의를 중시함.
• 독립 선언: 국민 정치 참여 3) 심의 민주주의 ㉢ 주기적 선거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대표가 전문성과
• 프랑스 대혁명: 자유, 평등, 자연
권, 국민 주권 등 식견을 발휘하여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함.
자유 민주주의 4 소로, 롤스, 하버마스가 시민 불복종을 정당화하는 근거는 무엇인지 비교하여 서
• 주요 이념: 자유, 평등, 인간 존
엄성 등 술해 보자.
• 가치 규범: 시민의 권리 보장, 국
민 주권, 대의제 등 1) 소로
2 민주 시민의 바람직한 자세 2) 롤스
3) 하버마스
대의 민주주의
• 특징: 의회, 권력 분립, 기본권
보장
• 한계: 대표성의 위기, 공공성의
위기 시민의 도덕적 자율성과
책임성 필요 5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1) 대의 민주주의는 어떤 한계가 있을까?
참여 민주주의, 심의 민주주의
• 참여 민주주의: 시민의 적극적 2) 자유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성숙한 시민 의식은 무엇일까?
참여와 유대
• 심의 민주주의: 공론의 장에서
의 합리적 의사소통
4. 민주주의의 이상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19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99 2018-08-06 오전 11:38:00